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05.13 2024

[인도네시아] 펫푸드 시장현황 및 트렌드

조회531

[지구촌 리포트]

▶ 인도네시아 펫푸드 시장 규모

‧ ‘23년 기준 인니 개사료 판매금액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2,506십억 루피아(약 1억 6천만불)를 기록했으며, 건식 사료가 2,134십억 루피아로 전체 판매액의 가장 높은 점유율(85%)을 차지

‧ ‘23년 기준 인니 고양이사료 판매금액은 전년 대비 13.6% 증가한 5,179십억 루피아(약 3억 2천만불)를 기록했으며, 건식 사료가 4,325십억 루피아로 전체 판매액의 가장 높은 점유율(83%)을 차지

‧ 인니 개사료, 고양이 사료 시장은 각각 최근 5년간 연평균 24%, 42% 성장 중이며 ‘28년까지 각각 3,070십억루피아(약 1억9천만불), 7,595십억루피아(약 4억 7천만불)까지 성장이 예상됨

‧ 인니는 인구의 87%가 무슬림이기 때문에 무슬림들에게 가장 친숙한 동물로 여겨지는 고양이를 기르는 반려인들의 수가 하람(허용되지 않은)으로 분류되는 개를 기르는 반려인 수보다 상대적으로 높음


<인도네시아 개 사료 / 고양이 사료 시장 규모>

external_image

  * 출처 : 유로모니터 2024 인도네시아 개사료/고양이사료 시장 보고서 **비고 : ‘24∼’29년 추정치

 ▶ 인도네시아 내 펫푸드 기업 동향

 ‧ 인니 내 펫푸드 시장 선두 업체는 주식회사 마즈 푸드 인도네시아(PT. Mars Foods Indoneisa)이며 페디그리(PEDIGREE), 위스카스(WHISKAS), 로얄캐닌(ROYAL CANIN) 시저(CESAR) 등 유명 펫푸드 브랜드를 취급하고 있음  

 ‧ 주식회사 마즈 푸드 인도네시아는 넓은 유통망과 온라인 쇼핑몰 연계 행사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인니 내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였으며, 입점 가격이 비싼 대형유통매장을 중심으로 제품을 입점 시켜 다른 업체들보다 큰 이익을 얻고 있음

 ‧ 힐스(Hill’s)의 경우 수의사들에게 영양가 높은 프리미엄 사료를 어필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 네슬레의 경우 대형 유통매장을 중심으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펫푸드 온·오프라인 판매 동향

 ‧ 인도네시아 최대 온라인쇼핑몰(토코페디아, 쇼피 등)는 펜더믹 기간 동안 비약적인 성장을 했으며, 온라인상에서 펫푸드를 구매하려는 소비자 또한 증가하고 있음 

 ‧ 온라인 판매 증가로 소비자들이 쉽고 간편하게 펫푸드의 가격, 질, 성분 등을 비교하여 주문이 가능해짐

 ‧ 로얄캐닌(ROYAL CANIN)의 경우 자체 이커머스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토코페디아, 쇼피 등 주요 온라인쇼핑몰 내 자체 오피셜 스토어를 개설하여 판매 확대 및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 인스타그램 및 틱톡 등 SNS 상에서 펫푸드 회사들이 인니 반려인들을 위해 사료 지급방법교육, 경험공유, 최신사료정보 등을 활발하게 제공 중임   

 ‧ 오프라인 시장에서도 펫푸드 전문 매장이 증가하고 있으며, 하람으로 금기시되는 반려견의 진입이 허용되는 쇼핑몰도 생겨나고 있음

external_image
* 출처 : 로얄캐닌 인도네시아 공식 인스타그램, 쇼피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펫푸드 수입 동향 및 소비자 트렌드

‧ GTA 통계 자료에 따르면, ‘23년 인니 펫푸드 수입액은 173백만불이며, 이중 태국산이 64백만불로 전체 수입의 3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52백만불(30.1%), 프랑스 30백만불(17.5%), 호주 7백만불(4.3%), 독일 5백만불(2.8%) 순임

‧ 한국은 1.5백만불로 10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 가격보다 품질을 우선으로 여기는 중상류층 반려인들의 증가와 함께 프리미엄 펫푸드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한국산 펫푸드를 찾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음

‧ 인니 프리미엄 펫푸드 시장은 팬데믹 이후 반려인 수 증가와 함께 강력한 애착 관계 형성 및 의인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제품군 또한 향, 성분, 패키징 등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음

‧ 과거 반려동물 출입이 금지되던 쇼핑몰이 대다수였지만 점차 반려동물 출입을 허용하는 곳이 늘어나는 등 반려동물 친화적인 문화로 변화하고 있어 인니 펫푸드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됨

external_image

* 출처 :

유로모니터 – 2023 인도네시아 개사료 시장 보고서

유로모니터 – 2023 인도네시아 고양이사료 시장 보고서

GTA – 2023 대인도네시아 펫푸드 수입 동향

자체 조사

▶ 시사점 및 결론

‧ ‘23년 기준 인도네시아 개사료 판매금액은 전년 대비 2.9%, 고양이사료 판매금액은 전년 대비 13.6% 증가했으며, 온라인시장 활성화, 펫푸드 전문 매장 증가, 반려동물 친화적 환경으로의 변화는 인니 펫푸드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예상 가능하도록 함

‧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시하여 반려동물에게 건강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진 제품을 먹이고자 하는 인니 중상류층의 수요를 반영하여 고품질 건식사료, 습식사료, 간식 등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군 판매를 통해 수출확대 도모 필요



문의 : 자카르타지사 한태민(htaemin0930@at.or.kr)

'[인도네시아] 펫푸드 시장현황 및 트렌드'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인도네시아 #펫푸드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