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05.16 2024

[중국] 펫푸드 시장 현황

조회525

[지구촌 리포트]

2023년 중국의 반려동물 수는 2억 마리를 돌파하였다. 이러한 개체수를 바탕으로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500억 위안(한화 약 47조 원)에 달했고, 그중 펫푸드 및 용품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의료 부문이 30%를 차지했다.


중국은 아시아 국가 중 펫푸드 시장 규모가 가장 큰 국가로, 2022년 아시아 국가 중 33.1%의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다. 중국의 펫푸드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원인은 반려동물의 인간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사람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하여 반려동물을 키우는 소유주들은 점점 더 영양가 있고 단백질이 풍부한 성분을 가진 펫푸드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는 중국 펫푸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사료시장 동향>

펫푸드 시장 내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것은 사료 제품이다. 중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 규모는 2024년 11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연평균 10% 이상 성장하여 2029년에는 18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사료 중에서도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개 사료이다. 2022년 42억 달러에서 2029년에는 7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반려견 사료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팽화사료*, 동결건조사료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제품군은 구운곡물류 제품으로, 건강한 재료와 제조방법으로 만든 펫푸드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팽화사료 : 고온과 고압을 적용해 원료를 팽창시키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사료. 주로 곡물이 원료로 사용되며 팽화 과정을 통해 영양소의 소화 흡수율이 향상됨

<반려견 사료 소비 제품군(%)>
external_image

데이터 출처 : 2023~2024년 중국 반려동물 업계 소비 보고서(2023-2024年中国宠物行业白皮书(消费报告))


사료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고양이다. 고양이 사료 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고양이 개체수가 27.5%로 크게 증가하며 고양이의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반려묘 사료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반려견 사료와 마찬가지로 동결건조제품과 팽화류가 가장 비율을 많이 차지하고 있다. 일반 사료, 건조 사료의 소비 비중은 줄어들고 있고, 동결건조제품과 팽화류, 구운곡물류 등의 제품군 소비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반려묘 사료 소비 제품군(%)>
external_image

데이터 출처 : 2023~2024년 중국 반려동물 업계 소비 보고서(2023-2024年中国宠物行业白皮书(消费报告))


<펫푸드 소비 동향>

일반 식품의 판매 경로가 다양화되며 펫푸드의 판매처도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전통적인 온라인 매장, 오프라인 마트, 동물병원뿐만 아니라 전문 반려동물 용품 매장, 라이브커머스 등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반려동물 사료는 온라인 매장, 반려동물 전문매장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구매할 수 있지만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구매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 외 영양제 등 보충제품은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는 비중이 더 높다. 라이브 커머스 시장이 확대되며 펫푸드 시장에서의 영향력도 점차 커지고 있는데,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펫푸드를 구매하는 비중은 전년 대비 6.3%가량 증가하였다.


최근 반려동물 업계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발표한 <2023~2024년 중국 반려동물 업계 소비 보고서>에 따르면 반려동물(개, 고양이)의 사료를 구매하는 소비자 중 절반은 사료의 브랜드나 생산지에 상관없이 제품을 구매한다고 한다. 약 30%의 소비자는 중국산 제품만을 구매하고 20% 미만의 소비자만이 수입산 제품을 선택한다. 하지만 펫푸드의 고급·프리미엄 수요가 증가할수록 수입산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펫푸드의 고급화>

펫푸드 시장의 주요 소비자는 80~90년대생의 젊은 소비자이다. 2023년 기준 90년대생 소비자는 전년 대비 2.1% 증가하였고 80년대생 소비자는 10.8% 증가, 70년대생 소비자는 8.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 중 절반에 가까운 46%가 90년대 생이며, 23%는 95년 이후 출생자이다. 이러한 청년층 소비자들은 자신의 반려동물을 위해 더욱 좋은 제품, 더욱 건강한 제품을 찾기 시작했고 프리미엄·고품질 수요가 증가하여 반려동물 1마리당 지출이 증가하였다.


반려동물을 위해 아낌없이 지갑을 여는 청년층 소비자를 공략하여 중국 유명 베이커리 프랜차이즈인 Holiland에서는 펫푸드 전문 ‘Holiland Pet’ 브랜드를 출시하여 큰 화제가 되었다. 이 브랜드에서는 반려동물이 먹을 수 있는 케이크를 제작하여 100~400위안(한화 약 2~8만 원)에 판매하고 있다. 사람이 먹는 케이크에 비해 저렴한 가격은 아니지만 해당 제품은 매진 행렬을 이어가며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external_image


시사점

반려동물을 단순하게 ‘동물’로만 인식하던 과거와 달리 점차 ‘가족’과 같은 존재로 변하고 있다. 반려동물(pet)과 인간화(humanization)를 합성하여 ‘펫휴머니제이션’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늘어나는 반려동물 개체수와 반려동물을 위해 아낌없이 소비하는 소유주들에 힘입어 중국의 펫푸드 시장은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한국의 펫푸드는 중국으로 수출이 불가하지만 펫푸드의 주 소비층이 청년층이라는 점에서 펫푸드 소비 트렌드를 관찰하는 것은 청년층의 소비 개념과 소비 트렌드를 통찰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출처

https://baijiahao.baidu.com/s?id=1798461411849602886&wfr=spider&for=pc

https://www.researchandmarkets.com/report/china-pet-food-market

https://sd.ifeng.com/c/8VsrlogE89x

https://baijiahao.baidu.com/s?id=1781916201521226588&wfr=spider&for=pc



문의 : 베이징지사 박원백(piaoyuanbai@at.or.kr)

'[중국] 펫푸드 시장 현황'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중국 #펫푸드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