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05.30 2024

[사우디] 주요 대형 유통매장 한국 식품 진출 현황

조회382

주요내용

요즘 사우디아라비아 (이하 사우디)에서 한국 식품의 인기가 상당하다. ‘19년부터 ’23년까지 사우디 농림수산식품 수출 추이를 살펴보면 연평균 성장률 8.6%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라면류의 경우에는 매년 평균 31%씩 수출액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올해 들어 수출액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데 ‘244월 누계 기준으로 전년 대비 식품 수출액이 약 84%, 면류, 과자류의 경우에는 각각 133%, 186% 증가하였다. 이에 두바이 지사는 ’245월 사우디 현지 대형 유통 업체를 방문하여 한국 식품 판매 현황을 파악해보았다.

<2019~2023 사우디아라비아 수출 추이>

external_image

출처: KATI

*사우디는 현지인이 인구의 약 65%,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방글라데시 등 외국인이 나머지 약 35%를 구성하고 있다. (UAE는 인구의 약 80%가 외국인이다.) UAE에 비해 엄격한 이슬람 율법을 적용하여 전체적으로 보수적인 분위기를 띄고 있었으나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 집권 이후 폐쇄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점차 개방적으로 바뀌고 있다.

 

사우디의 메이저 유통매장은 판다, 타미미, 다뉴브, 루루, 까르푸 등이며 매장에 입점해있는 품목들은 주변국인 UAE에서 판매하는 브랜드 및 식품들과 상당히 흡사한 편이다. ‘23년 사우디 주요 대형 유통매장에 입점한 한국식품이 대부분 라면류 및 소스류였던 것에 반해 올해 시장조사한 바로는 각 매장에서 취급하는 한국식품의 종류가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아라비아 하이퍼마켓 시장 점유율>

external_image

출처: Euromonitor




유통매장
1. Panda (판다)

<판다- 유통매장 개요>

external_image

기업명

Panda Retail Company

설립

1978

종업원수

18,000여명

매장 위치

사우디, 이집트, UAE 39개 도시

점포수

182

홈페이지

https://panda.com.sa

방문지점: Panda, Qurtubah District

판다는 사우디에서 가장 시장점유율이 높은 유통 채널(37.2%)로 서민적인 분위기의 마트이다. Qurtubah District에 위치한 판다는 슈퍼마켓 사이즈의 다소 작은 매장임에도 한국 스낵류, 라면류를 판매하고 있다.

오리온 초코파이 2(더블초코, 일반)이 수입 식품 코너가 아닌 일반 Snack 진열대, 특히 골든존(소비자가 진열대에서 가장 먼저 보는 위치)에 다이제스티브, 비스코프 등 타 글로벌 브랜드와 함께 진열되어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한국 라면류(삼양, 농심)는 일반 Instant noodles 진열대 전면에 넓게 포진되어 있다. 현지인들의 기호에 따라 전반적으로 볶음면 종류가 많은 편이며, 한국 라면도 국물라면보다 불닭볶음면, 짜장면, 비빔면 등 볶음면이 많이 입점되어 있다.

Panda, Qurtubah District (출처: 직접 촬영)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스낵류- 오리온 초코파이

라면류- 농심, 삼양


유통매장
2. Tamimi (타미미)

<타미미- 유통매장 개요>

external_image

기업명

Tamimi markets (Tamimi Group)

설립

1979

매장 위치

사우디, 바레인

점포수

90+

홈페이지

https://www.tamimimarkets.com

방문지점: Tamimi, Qurtubah District

시장점유율 9.1%(3)를 차지고 하고 있는 타미미는 시장조사를 실시한 유통매장 중 가장 많은 한국 식품을 판매하고 있다.

소스류, 라면류(농심, 삼양, 팔도), 컵떡볶이, 김치, , 빵가루 등 다양한 한국 식품 상품 구색을 갖추고 있으며 중소기업 및 제이원푸드와 같은 재미교포가 설립한 한식 브랜드도 입점되어 있다.

타미미 내 모든 한국 식품들은 International food 섹션에 진열되어 있다. 사우디는 중동지역에서 가장 큰 식량 수입국가로 소비되는 식량의 80%를 수입하고 있어 사실은 일반 매대에 진열된 대부분의 상품들도 해외 수입제품이다. 한국 식품은 따로 마련된 수입식품코너에 진열된다는 점을 미뤄보았을 때, 아직은 한국 식품이 이국적인 특별한 음식로 인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amimi, Qurtubah District (출처: 직접 촬영)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간장- 샘표

식초 및 당면 - 청정원

불닭소스- 삼양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캔김치- 매일식품, 종가

국수-제이원푸드, 샘표, 효천푸드

- 제이원푸드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파스타면- 청정원

빵가루 & 튀김가루- 백설, 청정원

와사비분- 청정원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라면류- 농심, 삼양, 팔도

떡볶이-굿서울, 영풍

 

유통매장3. Danube (다뉴브)

<판다- 유통매장 개요>

external_image

기업명

Danube Company

설립

1987

매장 위치

사우디

점포수

47

홈페이지

https://www.danube.sa

방문지점: Danube, Qurtubah District

다뉴브는 사우디 하이퍼마켓 시장점유율(13.1%)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Qurtubah District에 위치한 다뉴브는 백화점 식품 매장 수준의 쾌적한 쇼핑 환경을 제공한다.

한국식품으로는 라면류, 컵떡볶이, 소스류를 판매 중이며, 해당 품목들은 Oriental food 섹션에 따로 진열되어 있 역시 일반 소비자보다는 이국적 식품을 적극적으로 찾는 고객을 타겟으로 한 상품 배치로 보인다.

라면류는 농심, 삼양, 팔도 외 신세계푸드가 입점되어 있었으며, 시장조사를 실시한 유통매장 중 가장 많은 SKU를 보유하고 있었다. 한국 소비자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신세계푸드의 대박라면은 할랄시장 공략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제품으로 말레이시아 등 해외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Danube, Qurtubah District (출처: 직접 촬영)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라면류- 농심, 삼양, 팔도, 신세계푸드

불닭소스- 삼양

신세계푸드- 대박라면

 

유통매장4. Lulu (루루)

<판다- 유통매장 개요>

external_image

기업명

Lulu Hypermarket

설립

2009(사우디 기준)

매장 위치

GCC, 이집트, 인도, 말레이시아 등

점포수

34(사우디 기준)

홈페이지

https://www.luluhypermarket.com/en-sa

방문지점: Lulu, Yarmuk

루루는 UAE를 비롯한 GCC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대형 유통 체인으로 사우디에서는 8.7%의 점유율(5)을 가지고 있다.

한국식품으로는 라면류(농심, 삼양, 팔도), 소스류, 컵떡볶이, 김 등이 입점되어 있다. 일반 Instant noodles 섹션에서는 농심 너구리 라면만 판매하고 있으며, 상품 노출이 잘 되는 엔드매대(매대 끝쪽 돌출된 매대)에는 현지에서 선호도가 높은 Indomie 라면이 진열되어 있다. 너구리 외 라면 등 한국 식품은 International food 코너에서 판매 중인 것으로 보아, 루루 역시 한국식품을 외국 식품으로 정의하고 특정 소비자를 타겟하여 상품을 진열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루루에서 ‘Gimme’라는 조미김을 판매하고 있는데 한국에서 제조하지만 재미교포가 설립한 브랜드이다.

Lulu, Yarmuk (출처: 직접 촬영)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일반 진열대- 농심 너구리 라면

조미김- 김미

소스류- 청정원 케첩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소스류- 불닭소스

컵떡볶이- 영풍, 굿서울

라면류- 농심, 삼양, 팔도

 

시사점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K-콘텐츠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서 자주 소개가 되는 라면, 떡볶이 등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세계적 열풍이었던 불닭볶음면 챌린지는 사우디에서도 예외가 아니었고, 이에 치즈, 까르보나라, 짜장 등 다양한 불닭볶음면이 유통매장의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며 판매되고 있었다. 한국 라면은 타제품 (Indomie ) 대비 약 3배정도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판매가 증대되는 추세이다. 시장 조사 결과 현지 주요 유통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한국 식품은 라면류, 소스류 외에도 떡볶이, 김치, , 튀김가루 등이 있었으며 ‘23년에 비해 품목이 상당히 다양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우디는 빈살만 왕세자가 집권한 이후 외국 기업들이 진출하기 좋은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예전에는 사업 관련 정보를 얻으려면 정부 기관의 개인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소수의 영미계 컨설팅 회사를 통해야만 했는데, 요즘엔 영문으로 법령 검색이 용이해졌고 공개된 정보도 풍부해졌다.

또한 사우디의 메이저 유통 매장인 타미미의 경우에는 효천푸드, 영풍, 굿서울 등 중소기업 제품도 취급을 하고 있어 규모가 작은 기업이라도 사우디 진출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검토해보면 좋을 것 같다.

 

출처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50827

https://overseas.mofa.go.kr/sa-ko/brd/m_11060/view.do?seq=599088&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

https://www.kiep.go.kr/aif/issueDetail.es?mid=a30200000000&systemcode=05&brdctsNo=344675

Euro monitor- hypermarkets in Saudi Arabia 

 

 

 

 

 


문의 : 두바이지사 류한샘(samlyu@at.or.kr)

'[사우디] 주요 대형 유통매장 한국 식품 진출 현황'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과자 #라면 #소스류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 #라면 #초코파이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