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06.03 2024

[러시아] 식품가격 및 외식비 상승에 따른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갈등

조회204


■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판매가 협상 난항

□ 주요 내용

 러시아 연방 통계청(Rosstat)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식품가격 및 외식비가 평균 물가상승률을 상회하며 꾸준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만이 곳곳에서 제기되자 당국은 업체간 담합 등 불공정 거래를 집중 단속하면서, 동시에 관련 법령의 의거해 소매업체와 공급업체에게 자발적으로 가격 상승을 통제해줄 것을 권고하는 등의 가격 안정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판매가 협상을 두고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갈등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으며, 실제로 최근 들어 소매업체와 공급업체의 판매가 협상 결렬에 따라 일부 소매업체에서 특정 제품의 판매가 중단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리서치 센터 인포라인-아날리티카(INFOLine-Analitika)의 미하일 부르미스트로프(Mikhail Burmistrov) 이사는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판매가 협상은 항상 어렵게 진행되지만 계약 파기로 끝나는 경우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곧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당국의 계속된 가격통제 권고조치 및 소비자들의 불만 등으로 인해 소매업체는 그 어느 때보다 판매가를 낮게 유지해야 한다는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러시아 일간지 코메르산트(Kommersant)는 현재 대다수의 소매업체가 규제 당국의 가격통제 권고조치를 성실히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반대로 공급업체는 원자재 및 물류비 상승으로 판매를 높게 책정해야 한다고 주장중이다. 때문에 일부 품목에서 당분간 소매업체와 공급업체, 특히 외국계 공급업체간 판매가 협상은 난항을 겪을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 판매가 협상 실패로 인한 제품 공급 중단 사례

□ 엑스파이브 그룹(X5 Group) vs 맥커피(Maccoffee)

 지난달 22일 엑스파이브 그룹(X5 Group)은 자사 보유 체인점내 싱가포르계 기업 소유의 맥커피(Maccoffee) 판매를 공식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엑스파이브 그룹은 슈퍼마켓 페레크료스토크, 식품점 피쵸로치카, 할인점 치직(Chizhik) 등의 체인을 보유하고 있는 러시아 최대 식품 기업이다. 동 사는 판매 중단 결정과 관련하여 맥커피 측의 판매가격 인상 요구가 있어 판매가 협상이 결렬되었고, 맥커피 판매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 렌타(Lenta) vs 마스(Mars)

 4월 11일, 소매업체 렌타(Lenta)는 미국계 기업 마스(Mars)의 반려동물 사료 구매 중단 결정을 발표했다. 렌타는 "고객에게 유리한 가격으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조건과 관련해 파트너(마스)와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며 이유를 밝혔다. 이후 렌타와 마스는 몇 차례의 협상을 거쳤고, 지난달 28일 렌타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할 수 있는 일부 (마스) 제품의 판매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 렌타(Lenta) vs 몬델레즈 인터내셔널(Mondelez International)

 3월 13일 러시아 일간 RBC지는 렌타(Lenta)가 Oreo, Alpen Gold, Milka 등의 인기 식품(초콜릿 제품)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몬델레즈 인터내셔널(Mondelez International)의 제품 판매를 중단한다고 보도했다. 해당 결정과 관련하여 “협상 결과, 파트너(몬델레즈 인터내셔널)는 당사(렌타)가 제시한 합리적인 판매가의 제품 공급을 거부했다”며 공급 중단에 대한 이유를 공개했다. 


□ 브레니(Vreny) vs 바카디(Bacardi)

 3월 11일 슈퍼마켓 소매업체 브레니(Vreny)는 외국계 주류 생산업체 바카디(Bacardi) 제품 판매 중지를 공식화하며, 바카디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공급업체와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바카디는 제품 납품가의 17% 인상을 요구했고, 당시 브레니는 바카디의 요구를 받아들였으나 소비자들의 반발을 우려해 제품 판매가를 그대로 유지한바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수익성이 크게 감소하자 결국 바카디 제품의 판매 중지 결정을 내렸다. 



시사점: 최근 러시아 당국이 소매업체와 공급업체에게 자발적 가격 통제를 강력히 권고함에 따라 현지 소매업체와 외국계 공급업체간 협상 결렬 및 계약 파기 사례가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다. 식품가격 및 외식비 상승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만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기에 당국의 이러한 가격통제 정책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제품 공급가를 낮출 수 있는 전략을 다방면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출처: 

Retail.ru. «Лента» частично возобновила поставки кормов Mars для животных. 2024.05.28.

https://www.retail.ru/news/lenta-chastichno-vozobnovila-postavki-kormov-mars-dlya-zhivotnykh-28-maya-2024-241194/

Producttoday.ru. Публичный конфликт: Х5 выводит из продажи известный бренд кофе. 2024.05.22.

https://producttoday.ru/2024/05/22/publichnyj-konflikt-h5-vyvodit-iz-prodazhi-izvestnyj-brend-kofe/

Dairynews.today. Сеть «Лента» пытается добиться изменения цен поставщиков. 2024.04.12.

https://dairynews.today/news/set-lenta-pytaetsya-dobitsya-izmeneniya-tsen-posta.html

Retail.ru. Сеть «Верный» уберет из продажи алкоголь Bacardi. 2024.03.11.

https://www.retail.ru/news/set-vernyy-uberet-iz-prodazhi-alkogol-bacardi-11-marta-2024-238463/



문의 : 모스크바지사 이목원(309724@gw.at.or.kr)

'[러시아] 식품가격 및 외식비 상승에 따른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갈등'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러시아 #해당없음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