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06.13 2024

[베트남] 무알코올 음료(Soft Drink)시장 트렌드

조회150

[지구촌 리포트]

▶ 베트남 무알콜 음료(Soft Drinks)시장 현황

◦ 유로모니터의(Euromonitor)의 베트남 무알콜 음료(Soft Drinks)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3년 시장규모는 전년 대비 4.8% 증가한 4,658.2백만L이며, ‘28년 5,822.8백만L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 무알콜 음료 시장은 RTD차(Ready To Drink), 생수, 탄산음료, 주스 등으로 나뉘며, 카테고리별 시장규모는 RTD차 1,593.9백만L(전년비 4.1%↑), 생수 940.2백만L(8.7%↑), 탄산음료 823.8백만L(4.0%↑) 등 순이다.


<베트남 음료(Soft Drinks)시장 규모>      (단위: 백만L, %)

external_image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 베트남 음료 수입 및 유통 현황

◦ 베트남 음료시장이 매년 성장하는 것과 달리, 베트남 수입음료 규모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23년 음료 수입액은 전년대비 9.8% 감소한 247.3백만불이며, 주요 수입국은 미국, 한국, 일본, 태국 등이 있다. 


<베트남 국가별 음료 수입실적>        (단위 : 백만불)

external_image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220299(Nonalcoholic Beverages) - 과실주스음료, 인삼음료, 식혜, 기타음료 포함

◦ ‘23년 기업별 베트남 음료시장 점유율은 미국 식음료기업 펩시코(Pepsico)와 일본 주류음료기업 산토리그룹(SunTory Group)의 베트남 합작 법인인 산토리펩시코가 34.4%이며 현지 기업 떤히엡팟그룹(Tan Hiep Phat Group) 10.9%, 코카콜라 10.7% 등 순이다. 모두 베트남 현지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여 유통하고 있다.

◦ 특히, 점유율 1위인 산토리펩시코는 총 5개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트남 남부 롱안성에 연간 8억L 생산이 가능한 아시아 최대규모 음료공장을 착공하는 등 제품 공급능력을 강화하는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 현재 베트남 음료 제품의 경우 소매점 51.2%, 슈퍼마켓 12.7%, 편의점 5.4% 등 오프라인 유통채널을 통해 유통되는 비중이 91.2%이며, 온라인은 8.8% 불과하나 현지 물류인프라 발전 및 비대면 소비 활성화에 따른 온라인 채널을 통한 유통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음료 카테고리별 점유율 상위 제품>
external_image
*자료원: 쇼피 등 온라인 쇼핑몰


▶ 베트남 음료 소비트렌드

◦ 베트남의 덥고 습한 기후 특성상 현지 소비자들은 수분 보충 및 갈증 해소를 위한 당분이 함유된 RTD차 제품과 청량감이 있는 탄산음료를 선호하며, 음주운전 처벌 강화, 음주문화 변화 등 영향으로 주류 대신 음료 소비가 확대되는 추세이다.

◦ 최근에는 베트남 과체중 및 비만율 증가, 건강에 관한 관심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저당 또는 무설탕 제품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으며, 0㎉(제로칼로리) 제품이 현지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현지 인기 한국 음료로는 어린이 캐릭터 음료, 홍삼음료, 쌀음료, 두유 등이 있으며 대형유통매장, 소매점 등 현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만큼 현지 인기 음료로 자리 잡고 있다.

▶ 시사점

◦ 가계소득 증대 등 영향으로 가치소비를 추구하는 현지 소비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식품 안전, 건강에 관한 관심 확대 등 영향으로 무(無)첨가, 저(低)첨가, 저(低)칼로리 식품을 통틀어 칭하는 BFY(Better For You) 트렌드가 확산 중이다.

◦ 특히, 베트남 대기오염 심각도가 높아 기관지 질환 예방을 위한 제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로 영유아, 성인 등 다양한 연령층을 공략할 수 있는 배도라지 음료 등이 유망하다.

◦ 다만, 도라지는 현지에서 생소한 식품이기 때문에 현지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높은 인삼류의 성분(사포닌 등), 외형 등이 비슷한 점을 적극 어필하여 베트남 시장을 공략한다면 인삼류에 이어 제2의 한국 건강음료 붐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출 처

◦ Soft Drinks in Vietnam. Euromonitor.

◦ Suntory PepsiCo Việt Nam xây nhà máy hơn 300 triệu USD. 2024.4.9. Tuoitre.

◦ aT 하노이지사 자체 조사 등


문의 : 하노이지사 최성곡(skchoi@at.or.kr )

'[베트남] 무알코올 음료(Soft Drink)시장 트렌드'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베트남 #무알코올 #음료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