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06.24 2024

[호주와 뉴질랜드] 건강 스타 등급 표시 시스템 의무화 검토

조회120

호주 · 뉴질랜드 비관세장벽 이슈 


external_image


건강 스타 등급(HSR) 표시 시스템, 실제 도입률 목표에 못 미쳐 시행 강화 검토

2024년 6월 6일, 호주와 뉴질랜드 정부는 소비자가 더 건강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건강 스타 등급(HSR: Health Star Rating)’ 시스템의 도입이 미진함에 따라 이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힘. 2024년 5월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에서는 32%, 뉴질랜드에서는 30%의 제품만이 건강 스타 등급을 표시하고 있음. 1차 산업부(MPI)는 2025년 11월까지 전체 제품 중 70%가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의무화 시행을 검토할 예정임


1. 배경 : 호주와 뉴질랜드는 2014년 ‘건강 스타 등급(HSR)’ 시스템을 도입하고, 식품 제조사가 이를 자발적으로 표시하도록 권고함.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는 높은 편으로, 뉴질랜드 식품 안전부가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가 ‘처음으로 구매하는 포장 식품의 경우 건강 스타 등급을 활용한다’고 응답함. 그러나 건강 스타 등급 도입률은 임시 목표인 50%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이에 2025년 11월까지 건강 스타 등급의 도입률이 70% 미만일 경우 의무화를 고려하겠다고 밝힘


2.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  

1) 주요 내용

▪ 건강 스타 등급은 동일한 종류의 포장 식품 간 영양가를 소비자가 쉽게 비교하기 위한 점수임

▪ 건강 스타 등급 점수 체계는 아래와 같음

- 건강 스타 등급은 5점 만점으로, 0.5점부터 0.5 단위로 5.0점까지 표기할 수 있음

- 에너지, 포화 지방, 설탕 및 나트륨의 함량이 낮을 수록 점수가 높음

- 단백질, 과일, 야채, 견과류 및 콩류의 함유량이 높을 수록 점수가 높음

external_image

2) 호주 및 뉴질랜드 정부의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 도입 목표

- 2023년 11월 14일까지 50%, 2024년 11월 14일까지 60% 중간 목표였으며, 2025년 11월 14일까지 70%의 제품에 건강 스타 등급 도입하는 것이 최종 목표임

- 2023년 목표일 기준, 호주 제품의 32%, 뉴질랜드 제품의 30%가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조사됨


3) 건강 스타 등급 적용 방법(링크)

① 자동 등급 결정 해당 여부 확인, ② 건강 스타 등급 카테고리 결정, ③ 건강 스타 등급 양식 결정, ④ 건강 스타 등급 기준 점수 계산, ⑤ 건강 스타 등급 수정 점수 계산, ⑥ 최종 건강 스타 등급 점수 계산, ⑦ 제품에 건강 스타 등급 부여

4) 등급 적용 면제 주요 대상:

- 영양정보패널(NIP)이 필요하진 않은 식품

- 특수 목적 식품(유아용 조제 분유, 유아용 식품, 어린이를 위한 조제 보조 식품, 스포츠 보조 식품, 특수 의료 목적 식품, 알코올 음료(알코올 1.15% 이상))

- 비영양 식품 및 조미료(ex. 차, 커피, 후추 등)

- 단독으로 섭취할 수 없는 단일 성분 식품

- 제품별 영양 성분 차이가 크지 않은 식품(ex. 계란, 설탕, 베이킹 파우더)

- 추가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

- 배달 급식 업체를 통해 취약 계층에 전달하는 식품

- 기관 급식으로 사용하는 식품



호주 및 뉴질랜드로 수출하는 식품 라벨에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 도입 권장

호주 정부는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제조업체의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 도입을 지원하고 있음. 이 홈페이지에서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 계산기 및 스타일 가이드(Health Star Rating system calculator and style guide)’‘계산기 엑셀(Calculator Excel)’ 파일을 활용할 수 있음. 호주와 뉴질랜드 소비자는 처음 구매하는 제조 식품일수록 건강 스타 등급을 활용하므로, 이를 표기하여 건강하고 믿을 수 있는 제조 식품이라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호주와 뉴질랜드 정부가 건강 스타 등급 시스템 도입의 최종 목표가 달성되지 않을 경우 의무화 검토를 발표한 만큼, 호주와 뉴질랜드로 제조 식품을 수출하는 한국 기업은 이에 대한 선제적인 대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출처

MPI, Strong results for Health Star Rating in new consumer survey

Chemlinked food, Australia and New Zealand May Consider Making Health Star Rating Labeling System Mandatory, 2024.06.07

'[호주와 뉴질랜드] 건강 스타 등급 표시 시스템 의무화 검토'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