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0
2004
식품수입에 ‘안전 불감증’ (LA 농업무역관)
조회295
위생상 문제로 폐기처분 명령이내려졌던 한국산 젓갈류 파동은 식품안전 불감증이 빚은 불미스런 일이다. 이번 사건이 한인들이 다수 종사하고 있는 식품 수입업에 적지 않은 파장을 미칠 것이란 점에서 주목된다. 연방 및 LA카운티 보건당국이 조사중인 이 사건은 당국의 추정과수업업자의 주장이 엇갈려 현 단계에서 단정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렵다. 젓갈류에서 살모넬라균이 감염됐다는 주장은 확실한 단서를 요구한다. 또 업주가 당국의 젓갈 폐기명령을 어기고 이를 빼돌린 뒤 다른 용기에 다시 포장해 한인 마켓 등에 납품했다는 주장도 증거를 필요로 한다.그러나 분명한 것은 소비자 건강에 대한 안전의식이 실종됐다는 점이다. 당국이 창고에 보관된 팔렛 7개 분량, 25만 달러 상당의 젓갈류를 전량 폐기하라고 한 것은 제품의 원산지, 성분 등이 표시돼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품 포장에 내용물을 표기하는 것은 기본인데 이 원칙을 준수하지 않았던 게 사건의 발단이다.한국의 수출업자가 애당초 표기를 등한시할 경우 이곳의 수입업자가 이를 바로 잡았어야 했다. 돈 버는 일에만 몰두해 식품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규정도 지키지 않는다면 지탄받아 마땅하다. 이 젓갈에 위험한 살모넬라균이 들어있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식품수입 규정을 어겼으니 그러한 의심을 받는다 해도 유구무언이다. 한국과 미국의 식품문화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소비자의 건강을 중시하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음을 알아야 한다. 젓갈류에 대한 한인들의 수요가 있다보니 수입이 금지된 젓갈류가 들어와 가짜 포장으로 통관검사를 거친 뒤 다시 포장을 바꿔 시장에 나온다는 얘기는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러한 불법 행위도 근절돼야 한다. 비단 젓갈류 뿐 아니다. 한국수입상품 가운데 유통기한 등이 써 있지 않거나 기한이 지난 것이 유효한 것으로 둔갑해 매장에 버젓이 나와 있는 경우도 있다.이번 사건은 유사한 제품을 수입하는 다른 업소들에게도 직접 간접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 가뜩이나 까다로운 통관절차에 한인업자의 부정적 이미지가 더해져 유통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고 이는 일부 영세업자에겐 운영 난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국에서 개인용 식품을 가지고 오는 한인들이 공항에서 과잉 검색을 받을 소지도 있다.식품규정에 대한 수입업자의 무신경이 부를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소비자의 건강이다. 상한 젓갈류는 건장한 사람들도 식중독으로 고생하게 한다. 노약자에겐 치명적이다. 어떻게든 싸게 들여와 비싸게 팔려는 일부 업자의 각성을 촉구한다.
'식품수입에 ‘안전 불감증’ (LA 농업무역관)'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