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생산 동향 | |
|
|
세계 표고버섯 생산에 관한 FAO의 공식 통계자료는 없으나, 중국, 일본, 한국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중국이 세계 표고버섯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표고버섯은 주로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며, 주요 생산국은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이며 이들을 포함하여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화교권 국가들에서 대부분의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 |
|
■ 세계 표고버섯 생산량(추정치, 생표고 환산 기준) |
|
|
구분 |
1994년 |
1997년 |
2002년 |
2006년 |
2007년 |
생산량 |
% |
생산량 |
% |
생산량 |
% |
생산량 |
% |
생산량 |
% |
중국 |
626,000 |
73.6 |
1,125,000 |
85.1 |
2,214,444 |
91.7 |
3,293,235 |
94.3 |
2,880,000 |
93.4 |
일본 |
157,400 |
18.5 |
132,600 |
10.0 |
96,964 |
4.0 |
94,574 |
2.7 |
93,222 |
3.0 |
한국 |
22,000 |
2.6 |
17,000 |
1.3 |
37,854 |
1.6 |
38,534 |
1.1 |
40,185 |
1.3 |
대만 |
28,000 |
3.3 |
27,000 |
2.1 |
29,240 |
1.2 |
30,000 |
0.9 |
31,000 |
1.0 |
기타 |
17,000 |
2.0 |
20,000 |
1.5 |
36,550 |
1.5 |
37,000 |
1.0 |
38,000 |
1.2 |
계 |
850,400 |
100.0 |
1,321,000 |
100.0 |
2,415,052 |
100 |
3,493,343 |
100 |
3,082,407 |
100 | |
| |
|
주 |
1) |
세계 생산량에 대한 정확한 통계치는 없음. 1994년과 1997년 자료는 Mushroom Grower’s Handbook을 참조하였음. |
2) |
2002년, 2006년, 2007년 자료는 중국, 일본, 한국의 각 국가 통계자료를 사용하였으나 대만과 기타는 추정자료를 사용함. 단, 2007년 자료 중 중국 생산량은 일본의 ?Techno Innovation?을 참조하였음. | | |
|
|
세계 표고버섯 총 생산량은 2006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2007년 다소 감소한 308만 톤이 생산(생표고 환산 기준)된 것으로 추정되며, 일본의 [Techno Innovation]12)에 따르면 2007년 중국의 표고버섯 총 생산량은 288만 톤(93.4%)이 생산되고, 일본 9만 3천 톤(3.0%), 한국 4만 톤(1.3%)정도인 것으로 타나났다. | |
|
12) Techno Innovation. STAFF. 2009. no.73 |
|
|
한·중·일 표고버섯 교역 동향 | |
|
|
최근 5년간 한·중·일 표고버섯 교역 동향을 보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2004년 전무했으나 2008년 건표고 33만 9천 달러가 수출되었다. 반면, 중국으로부터의 생표고 수입은 2004년 21만 4천 달러에서 2008년 139만 8천 달러로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건표고 수입 또한 2004년 384만 3천 달러에서 2008년 764만 4천 달러로 증가하였다.
-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는 국내 표고버섯 생산이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는 반면, 소비가 꾸준히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 |
|
|
한국의 대일본 생표고 수출량은 2004년 전무했으나 2008년 1만 5천 달러가 수출되었고, 건표고 수출량은 2004년 224만 8천 달러에서 2008년 427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 일본시장의 포지티브 리스트제도13)로 중국산 표고버섯의 수출이 감소되고, 국내산 표고버섯의 일본 수출 기회가 증대됨으로 인해 대일본 수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 |
|
13) 포지티브 리스트제도(Positive ListSystem)는 수입 허용 농약 리스트에 기준치를 명시하고 그 밖에 리스트에 없는 농약은 수입을 금지하는 제도로, 일본은 2006년 5월부터 이 제도를 시행,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농약 등이 일정량 이상 잔류하는 식품의 판매 등을 원칙적으로 금지해오고 있다. |
|
|
이러한 영향은 중국의 대일본 교역동향에서도 잘 나타난다. 일본으로의 생표고 수출은 2004년 5,352만 4천 달러에서 2008년 1,340만 7천 달러로 5.0% 감소하였으며, 건표고 수출 또한 2004년 5,589만 8천 달러에서 2008년 5,324만 달러로 4.8% 감소하였다.
- 이는 일본이 2006년도 포지티브 리스트제도의 도입 이후 일부 중국산 생표고에서 기준을 초과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중국으로부터의 표고 수입이 크게 위축되었기 때문이다. | | |
|
■ 한ㆍ중ㆍ일 표고버섯(건표고 및 생표고) 교역량 |
|
[그림 30-9]
<2004년> |
<2008년> |
|
| |
주: 실선의 화살표는 한국 기준이며, 무늬의 화살표는 중국 기준임.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 |
|
|
국제 시장에서 중국산 표고버섯의 가격 우위는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 내 소비 증가로 인한 가격 상승과 수입국에서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요구 강화가 잇따르고, 국내에서는 중국산 표고버섯의 허용기준을 초과한 이산화황 검출 여파14) 등으로 중국의 표고버섯 수출은 줄어들 가능성도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내산 표고버섯의 일본 수출 기회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
|
14)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이 서울, 대전, 광주, 대구, 부산지역의 재래시장과 인터넷 사이트에서 판매 중인 수입산 표고버섯의 농약 및 이산화황 잔류실태검사 결과 허용기준(30ppm)을 초과하는 이산화황이 검출되었으며, 잔류 이산화황 평균 수치는 46.2ppm으로 나타났다(2009.8.21 발표). |
|
|
중국의 동향 | |
|
|
중국의 표고버섯 재배는 800년 전 중국 절강성 용천현, 경원현, 경영현 등에서 일본식15)을 사용하여 시작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 균상 재배기술 개발에 힘입어 표고버섯 종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동시에 중국의 연구자가 일본에서 많은 품종을 도입한 것이 중국의 표고버섯 재배의 주요 품종이 되었다. 1980년대에는 중국 연구기관에서 표고버섯 교배에 착수해, 2002년 신향 8호, 신향 10호가 개발되었다. 16)
- 현재 중국의 버섯 신품종 개발은 중국농업과학원, 상해시농업과학원 식용균연구원 등의 공공 연구기관과 농업대학 등이 중심이 되고 기업의 개발 또한 적지 않은 편으로 중국의 성장력은 빠르게 증가되고 있다. | |
|
15) 원목에 손도끼로 상처를 내고, 자연적으로 표고버섯 포자가 날아와 발생하기를 기다리는 방법이다. 16) Techno Innovation. STAFF. 2009. no.73. p39. |
|
|
중국의 대표적인 표고버섯 주산지는 복건(福建)성, 하남(河南)성, 절강(浙江)성으로 총 생산량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생산량은 2004년 약 217만 톤에서 2006년 약 329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 2002년에는 중국의 남동부에 위치한 복건성과 절강성이 표고버섯의 주생산지(전체 생산량의 약 45% 차지)였으나, 이후 중국의 남부지역인 하남성(약 30%)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다. | |
|
■ 중국의 성(省)별 표고버섯 생산 동향(생표고 환산) |
|
|
|
구분 |
합계 |
복건 |
하남 |
절강 |
호북 |
산동 |
섬서 |
기타 |
2002 |
생산량 |
2,214,444 |
620,000 |
303,893 |
378,000 |
187,000 |
132,200 |
101,150 |
491,201 |
(비율) |
(100) |
(28.0) |
(13.7) |
(17.1) |
(8.4) |
(6.0) |
(4.6) |
(22.2) |
2004 |
생산량 |
2,176,903 |
- |
689,903 |
364,572 |
186,617 |
221,091 |
86,645 |
625,531 |
(비율) |
(100) |
- |
(31.7) |
(16.7) |
(8.6) |
(10.2) |
(4.0) |
(28.7) |
2006 |
생산량 |
3,293,235 |
578,550 |
995,461 |
420,807 |
218,774 |
204,636 |
72,895 |
798,406 |
(비율) |
(100) |
(17.6) |
(30.2) |
(12.8) |
(6.6) |
(6.2) |
(2.2) |
(24.2) | |
| |
|
자료1) 「中國農産品加工業年監」. 2002., 2)「 中國農業統計資料」. 2004, 2006. |
|
|
중국의 생표고 주요 수출대상 국가는 일본, 미국, 홍콩, 네덜란드, 한국 등이고, 태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싱가포르 등으로도 수출되고 있다. 건표고는 일본, 홍콩, 한국, 말레이시아, 미국 등이 주요 수출대상 국가이고, 그 외 태국, 싱가포르, 북한, 캐나다, 네덜란드 등으로 중국의 표고버섯 수출국은 다변화되어 있다. | |
|
|
주요국별 수출동향을 보면 생표고는 전체적으로 2004년 대비 연평균 13.4%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 네덜란드, 한국 등에 대한 수출은 증가한 반면 일본, 홍콩, 기타 국가들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표고는 2004년 대비 연평균 8.6%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등에 대한 수출은 증가한 반면 일본, 홍콩, 말레이시아, 미국, 기타 국가들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고버섯의 주요 수출대상 국가인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4년 62%에서 2008년 40%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2006년 포지티브 리스트제도의 식품안전성 규제와 일본 내 소비감소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
|
■ 중국의 국별 생표고 및 건표고 수출 동향 |
|
|
|
구분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1~11) |
연평균 증감률 (08/4) |
생표고 |
전체 |
32,265 |
26,409 |
22,576 |
20,687 |
10,675 |
11,987 |
-13.4 |
일본 |
27,859 |
21,576 |
17,016 |
10,539 |
4,927 |
4,023 |
-16.5 |
미국 |
2,549 |
2,657 |
3,190 |
3,100 |
3,628 |
3,624 |
8.5 |
홍콩 |
258 |
- |
3 |
5,212 |
- |
- |
-20.0 |
네덜란드 |
315 |
653 |
608 |
726 |
710 |
628 |
25.0 |
한국 |
201 |
351 |
710 |
309 |
654 |
929 |
45.1 |
기타 |
1,083 |
1,172 |
1,049 |
801 |
756 |
2,784 |
-6.0 |
건표고 |
전체 |
24,678 |
24,226 |
17,599 |
19,919 |
14,119 |
18,520 |
-8.6 |
일본 |
7,881 |
7,667 |
7,200 |
6,748 |
5,186 |
4,928 |
-6.8 |
홍콩 |
8,265 |
6,907 |
3,748 |
4,917 |
1,818 |
2,432 |
-15.6 |
한국 |
1,165 |
1,302 |
1,406 |
1,508 |
1,562 |
1,405 |
6.8 |
말레이시아 |
1,207 |
1,428 |
756 |
1,805 |
786 |
1,462 |
-7.0 |
미국 |
1,478 |
1,294 |
938 |
1,080 |
765 |
1,634 |
-9.7 |
기타 |
4,682 |
5,628 |
3,550 |
3,861 |
4,002 |
6,658 |
-2.9 | |
| |
|
자료: www.kita.net |
|
|
생표고를 수출하는 주요 지역은 절강(37%), 상해(25%), 복건(20%), 요녕(8%), 광동(5%), 강소(2%) 등이며, 건표고 주요 수출지역은 복건(45%), 호북(19%), 광동(13%), 절강(9%), 상해(5%) 등으로 특히 절강성과 광동성 등의 중국 동부 연안지역의 수출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 |
|
|
중국의 생표고 수입은 2004년 북한으로부터 61톤이 수입되었으나 2005년 이후로는 수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건표고 수입량은 매우 미미하며 수입국은 중국17), 대만, 일본, 북한 등으로 소수의 국가로 형성되어 있다. | |
|
17) 중국이 수입하는 물량 중 홍콩을 경유하여 수입되는 경우는 중국으로 명시된다. |
|
■ 중국의 국별 생표고 및 건표고 수출 동향 |
|
|
|
구분 |
연도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1~11) |
건표고 |
전체 |
1 |
14 |
10 |
15 |
26 |
0 |
중국 |
1 |
13 |
8 |
15 |
- |
- |
대만 |
- |
1 |
1 |
0 |
- |
0 |
일본 |
1 |
- |
- |
0 |
1 |
- |
북한 |
0 |
- |
1 |
- |
- |
- |
기타 |
0 |
- |
- |
0 |
25 |
- | |
| |
|
주: “-”는 수입실적이 없는 것을 의미하며, “0”은 1톤 이하의 수량임. 자료: www.kita.net |
| |
|
중국은 WTO 가입 이후 동부 연안지역 수출농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생산 및 수출입량이 현 수준에서 지속될 것이며 중국내 소비량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표고버섯의 생산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다만 중국산 표고버섯의 일본 수출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와 같은 원인이 중국 생산량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 |
|
|
일본의 동향 | |
|
|
2008년 일본의 생표고 생산량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여 7만 342톤(4.7% 증가)인 반면에, 생표고의 수입량은 2004년을 정점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 |
|
|
건표고의 경우 생산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2008년 소폭 증가하여 3,867톤(전년 대비 8.4% 증가)이 생산되었으며, 2008년 건표고 수입량은 일본 국내 수요량의 64.0% 비율을 차지하는 6,759톤이다.
- 2008년 건표고 생산량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중국산 등의 수입 영향으로 볼 수 있다. | |
|
■ 일본의 표고버섯 수급 동향 |
|
|
|
구분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연평균 증감률 (08/04) |
생표고 |
생산 |
66,204 |
65,186 |
66,349 |
67,155 |
70,342 |
1.5 |
수입 |
27,205 |
22,526 |
16,394 |
9,972 |
4,689 |
-25.5 |
소비 |
93,409 |
87,712 |
82,743 |
77,127 |
75,031 |
-3.6 |
건표고 |
생산 |
4,088 |
4,091 |
3,861 |
3,566 |
3,867 |
-1.0 |
수입 |
8,844 |
8,375 |
7,949 |
7,700 |
6,759 |
-5.8 |
수출 |
73 |
85 |
76 |
69 |
60 |
-4.8 |
소비 |
12,859 |
12,381 |
11,734 |
11,197 |
10,566 |
-4.3 | |
| |
|
자료: 일본농림수산성 임야청 |
|
|
일본은 생표고 소비량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균상재배를 통한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2008년에는 생표고 소비량의 70%가량이 균상재배를 통해 생산된 표고버섯으로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
■ 일본의 생표고 생산량(원목·균상) 및 소비량 비교 |
[그림 30-10] |
|
주: Techno Innovation. STAFF. 2009. no.73을 바탕으로 재구성함. | |
|
■ 일본의 표고버섯(품목별) 생산량과 순위(2008년) |
|
|
|
주산지 (생산량 순위) |
건표고 |
주산지 (생산량 순위) |
생표고 |
동고 (冬姑) |
향신 (香信) |
산성 (山成) |
합계 |
원목재배 |
균상재배 |
합계 |
오이타 |
663 |
761 |
65 |
1,489 |
도쿠시마 |
118 |
7,456 |
7,574 |
미야자키 |
79 |
350 |
217 |
646 |
군마 |
1,766 |
3,482 |
5,248 |
구마모토 |
103 |
155 |
25 |
283 |
훗카이도 |
466 |
4,547 |
5,013 |
에히메 |
26 |
75 |
125 |
226 |
이와테 |
352 |
4,304 |
4,656 |
이와테 |
69 |
63 |
58 |
190 |
도치기 |
1,372 |
2,887 |
4,259 |
도치기 |
40 |
102 |
20 |
162 |
나가사키 |
71 |
2,952 |
3,023 |
총생산량 |
1,226 |
1,891 |
750 |
3,867 |
총생산량 |
14,916 |
55,426 |
70,342 | |
| |
|
자료: www.e-stat.go.jp |
|
|
건표고의 주 생산지는 오이타현, 미야자키현, 구마모토현이며, 오이타현이 전체의 약 38.5%를 차지하고 있다.
- 건표고는 향신18)(48.9%)이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다음으로 동고19)(31.7%), 산성20)(19.4%)이 생산되고 있다. | |
|
18) |
향신은 갓의 두께가 얇고 줄기도 가는 편이며, 형태는 갓이 활짝 피어 크기가 다양하다. |
19) |
동고는 추운 겨울에 서서히 기른 것으로 갓이 두껍고 줄기부분이 굵은 것이 특징이다. |
20) |
산성은 무선별 건표고를 말한다. | |
|
|
생표고의 주생산지는 도쿠시마현, 군마현, 훗카이도현으로 도쿠시마현이 전체의 약 10.8%를 차지하고 있다.
- 생산방식에 있어서는 원목재배(21.2%)와 균상재배(78.8%)로 일본은 균상재배 방식으로 급격히 전환되는 추세이다. | |
|
|
일본은 잔류농약 검출, 만두 사태, 멜라민 사태 등으로 수입 농림수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경계 수준이 더욱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중국산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나빠져 일본의 중국산 표고 수입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국내산 표고의 수출 가능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 |
|
생산 및 소비 | |
|
|
|
표고버섯 생산량(생표고 환산 기준)은 2004년 3만 8천 톤에서 2008년 4만 톤이 생산되어 연평균 0.9% 증가하였으며 2009년에는 2008년 대비 소폭 증가한 약 4만 583톤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 |
|
|
생표고의 경우 2008년 2만 5,242톤이 생산되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건표고는 2005년과 2006년 소폭 증가하였으나 2008년 1만 4,854톤이 생산되어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
- 최근 원목재배 임가의 신규 접종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원목재배 방식에서 균상재배 방식으로의 전환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생표고 생산량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건표고 생산량이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자목가격, 건조비 상승에 따른 생산비용의 증가, 노령화 등으로 건표고 재배 임가가 감소하였으며, 고온과 저온 등 재배환경이 좋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 |
|
■ 표고버섯 생산량 추이 |
[그림 30-11] |
|
주: 건표고 생산량은 생표고로 환산하였음(환산 비율 7.31). 자료: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2000년~2007년, ㅌ「2008 임산물생산통계」 |
|
|
2008년 표고버섯의 주요 지역별 생산량 비중을 살펴보면 충남(35.2%), 경북(19.7%), 전남(18.7%)의 생산량이 전체 생산량의 73.6%를 차지하고 있다.
- 전남 지역은 2007년 대비 생산량 비중이 4.2% 감소한 반면, 경북 지역은 2007년 대비 4.8% 증가하였다. | |
|
|
생표고의 최대 주산지는 부여로 2008년 총 생산량의 15.1%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청송(6.2%), 청양(6.2%), 문경(4.8%), 공주(3.8%) 등을 들 수 있다. 건표고의 최대 주산지는 장흥으로 2008년 총 생산량의 26.5%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문경(5.6%), 거제(5.6%), 진안(5.6%) 등이다. | |
|
■ 지역별 표고버섯의 생산 동향 |
[그림 30-12] |
|
주: 건표고 생산량은 생표고로 환산하였음(환산 비율 7.31). 자료: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2007년, 「2008 임산물생산통계」. |
|
|
국내 표고 총 생산량에서 톱밥재배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7년 5% 미만, 2008년 10% 미만이었으나, 현재는 15~20% 수준이다.
- 톱밥배지 재배방식은 균상재배 방식의 일종으로 거의 모든 활엽수 톱밥을 사용할 수 있고 잔가지 등 폐잔재를 활용할 수 있어 원목재배에 비해 자원이 절약된다. 또한 관리방법도 쉬워 노령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재배 기간도 짧아 자본회수가 용이하다. 이 때문에 한국의 표고버섯 재배방식은 톱밥배지 재배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 표고자목 가격, 인건비 등의 상승으로 톱밥배지로의 전환을 계획하는 임가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21), 톱밥배지 공급센터의 2010년 공급물량 대부분이 예약됨으로써 톱밥배지 확산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
|
21)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임업관측 표고버섯. 2009. 12월호. 2009년 전체 표본임가 중 톱밥배지 표고를 생산하고 있는 임가는 6.0%에 해당되고, 2010년 톱밥배지 표고 생산계획이 있는 임가는 11.5%, 고민중인 임가는 9.0%로 조사되었다. | |
|
■ 표고버섯 1인당 소비량 추이 |
[그림 30-13] |
|
주: 건표고(환산 비율 7.31) 및 조제표고(환산 비율 0.20) 소비량은 생표고로 환산하였음. |
|
|
표고버섯의 1인당 소비량(생표고 환산 기준)은 2004년 1.08㎏에서 2008년 1.17㎏으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제품별로는 2008년 1인당 소비량은 생표고 532g, 건표고 621g, 조제표고 16g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생표고(연평균 0.8% 증가) 및 건표고(연평균 2.0% 증가) 소비량은 소폭 증가한 반면, 조제표고22)(연평균 18.1% 증가)의 소비량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표고버섯은 건강식품의 한 종류로, 일반적으로 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소비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표고버섯의 소비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
|
22) |
조제표고(HS code: 2003901000) 정의: 원형 그대로의 표고버섯(생표고)을 신선처리, 냉장·냉동처리, 건조처리 등의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가공한 것으로 염장(통조림), 가열, 삶음, 절단(슬라이스) 방법 등으로 처리된 것을 말한다. | |
|
|
이와 같이 표고버섯의 소비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생산량 증가를 위한 재배임가의 노력이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표고버섯은 2010년부터 UPOV의 품종보호 대상작물23)로 지정됨으로써 표고 임가들의 품종사용료(로열티)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표고 임가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종균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 |
|
23)품종보호 대상작물이란 ?종자산업법?에 의해 신품종으로 출원·등록되어 타인의 무단 증식 등으로부터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을 말한다. |
|
|
또한 생표고 소비가 증가되면서 재배기간이 짧고 톱밥배지와 원목의 제품 차별화가 크지 않으며 노동력 절감 및 생산이 용이한 톱밥배지 표고로의 전환이 빨라지고 있다. 그러나 톱밥배지 생산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 부담이 커 영세한 임가들은 톱밥배지로의 전환이 쉽지 않다. 이에 따른 정부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
|
|
유통 및 가격 | |
|
|
생표고는 산지조합 및 단위농협(60%)과 작목반(40%)을 통해 도매시장(80~85%)으로 출하되는데, 전체 출하물량의 25~35%는 가락시장으로 출하되며 대부분이 수도권 및 지방의 도매시장으로 유통되고 있다. | |
|
|
최근 가락시장 등 도매시장의 반입비율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인터넷 등을 활용한 소비자직거래와 대형마트 등 판로가 다양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물량의 전량 판매 용이성과 운송의 편리성 등으로 가락시장 유통 비중이 비교적 높게 차지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생산자와 소비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직거래 또는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의 유통업체를 선호하는 임가 비중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24) | |
|
24)임업관측(표고버섯) 표본 임가를 대상으로 생표고 주요 출하처에 대한 조사에서 2008년(8월) 응답 결과 가락시장(56.9%), 수도권 및 지방 도매시장(20.6%), 소비자직거래(18.6%), 유통업체(2.9%), 산지수집상(1.0%) 순으로 나타났으며, 2009년(8월)에는 가락시장(33.3%), 유통업체(22.7%), 수도권 및 지방 도매시장(21.2%), 소비자직거래(13.6%), 산지수집상(9.1%) 순으로 나타났다. |
|
|
생표고의 가락시장 도매가격(중품 기준)은 2007년까지 생산량이 늘어나며 하락 추세를 보였으나, 이후 생산량이 정체를 보이고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 |
|
■ 생표고 생산량과 가락시장 반입 동향 및 도매가격 |
[그림30-14] |
|
주: 생표고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중품 기준임. 자료: 「임업통계연보」각 연보 활용, 2009년 생표고 생산량은 추정치임,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
■ 생표고의 등급별 도매가격 추이 |
[그림30-15] |
|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
|
등급별 가격 추이를 보면 특품의 가격 하락이 크고 상·중·하품의 가격이 소폭 상승하고 있다. 고품질은 선물용 판매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그 외 품질은 학교 식자재 등 식생활의 소비가 주를 이루고 있어 상·중·하품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보인다. | |
|
|
건표고는 주산지인 장흥, 문경, 거제 등의 산지 농협 및 산지 표고협회에서 봄과 가을에 실시하는 입찰을 통해 유통되며, 특히 장흥지역은 인근의 전라지역 건표고 물량까지 입찰하고 있어 장흥 유치농협, 용두농협의 입찰 물량이 건표고 출하량의 40~45% 정도를 취급한다. | |
|
|
건표고 입찰 평균가격은 2007년 3.75kg당 15만 9천원, 2008년 17만 1천원, 2009년 17만 3천원으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도매가격은 수출이 늘어나면서 물량확보로 인해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고 2009년에는 수출부진으로 도매가격은 2008년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 |
|
|
건표고 생산이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어 향후 표고버섯의 가격은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자재 및 건표고 슬라이스 등 다양한 용도의 소비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국내 원목재배의 우수성을 이용한 건표고 고급화 전략을 통한 국내 소비 및 수출 마케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
|
■ 건표고 생산량, 장흥지역 반입 동향 및 도매가격 |
[그림30-16] |
|
자료: 「임업통계연보」각 연보 활용, 2009년 건표고 생산량은 추정치임, 장흥 유치농협. |
|
|
수출입 | |
|
|
국내 수출은 90% 이상 건표고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1980년대 말까지 표고버섯 생산량의 대부분을 수출하였으나 1990년부터 수출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00년 이후에는 200~300여 톤 수준에 머물렀다.
- 건표고 수출이 감소한 이유는 생산량 감소로 국내 가격이 높게 형성되면서 시장구조가 내수 위주로 바뀌었고 해외시장에서는 저가의 중국산에 밀려 가격 경쟁력이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 |
|
|
최근 5년간 건표고 수출은 2004년 235톤(4,582천 달러)에서 2008년 280톤(5,993천 달러)로 2004년 대비 3.6% 증가하였으나 2009년에는 238톤(5,155천 달러)으로 감소하였다.
- 2009년 일본으로 수출된 건표고는 148톤(62.3%)이며, 홍콩 39톤(16.3%), 대만 32톤(16.5%), 미국 10톤(4.1%) 등으로 일본과 홍콩이 전체 수출량의 약 79%를 차지했다.
- 2007년 일본과 홍콩으로의 수출량이 전체 수출량의 약 90%를 차지하였으나, 6~14톤의 소량으로 수출되었던 대만으로의 수출이 2009년 32톤이 수출되면서 일본과 홍콩으로의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건표고의 국가별 수출동향 |
[그림 30-17] |
|
주: 2009년 자료는 1~11월까지 한국무역협회, 12월 관세청 자료를 합한 것임. |
|
|
건표고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원목표고의 우수성을 이용한 고품질 위주의 판매 전략과 지속적인 공급체계의 구축, 규격화 등이 요구된다. | |
|
|
표고버섯의 수입은 주로 건표고25), 조제표고이며 중국, 북한 등에서 수입된다. 표고버섯수입량26)은 2008년 1만 8,804톤(16,688천 달러)으로 2004년 대비 연평균 4.4%씩 증가해 왔다.
- 2009년도 건표고 및 조제표고 수입량은 각각 2,251톤(생표고로 환산 1만 6,455톤), 4,092톤(생표고로 환산 818톤)으로 추정되며 매년 수입량의 변화는 적으나, 생표고 수입량은 1,301톤으로 국내 생산이 정체를 보이면서 가격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조제표고는 전적으로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며 통조림 등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식자재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어 앞으로도 조제표고의 수입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조제표고는 기본세율 20%로 생·건표고보다 현저히 낮아 많은 양이 수입되는 반면 생표고와 건표고는 국내 생산자 보호를 위해 조정관세를 적용27)하고 있어 수입량이 많지 않다. | |
|
25) |
건표고는 북한산 반입물량을 합한 것으로 북한산 건표고의 연간 반입한도는 800톤이다. |
26) |
건표고(환산 비율 7.31) 및 조제표고(환산 비율 0.20)는 생표고로 환산하였으며, 생표고 수입량과 합한 값이다. |
27) |
생표고와 건표고의 2009년 기본관세는 30%, 조정관세는 42% 또는 1,625원/㎏을 적용하고 있다. | |
|
■ 표고버섯의 제품별 수입 동향 |
[그림 30-18] |
|
주: 2009년 자료는 1~11월까지 한국무역협회, 12월 관세청 자료를 합한 것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