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10.22 2012

대만 지리역사(지리역사)

조회628

1. 인구·지리

 

 

 ㅁ 면적

 

  관할 토지 면적은 3 6,188

 

  대부분이 산악 지형으로, 경작 토지 면적은 전체 지형의 24% 정도임

 

 ㅁ 인구

 

  ○ 2011년 영국 The Sun Migration Watch에 따르면 대만의 인구밀도(639/)는 방글라데시(1,033) 다음으로 세계 2위임. (한국 484/㎢로 세계 3)

 

  인구의 약 60% 4대 도시인 臺北, 高雄, 臺中, 臺南에 집중해 있으며, 臺北시의 인구밀도는 각각 10,000/㎢에 육박하고 있음.

 

  ○ UN이 정한 노령화 사회의 기준치를 근거로 대만은 1993년도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7.03%로 노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08년에는 노인인구비율이 10%를 돌파한 10.4%에 달함. 2018년에는 대만의 노인인구비율이 14%를 초과하며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대만 정부는 1990년대부터 대만사회의 노령화 가속화와 심각해지는 출산율 저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출산 및 자녀교육보조금 등 출산장려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출산율이 좀처럼 증가하지 않고 있음.

 

  ○ 2011년 대만 내정부 통계에 따르면, 대만 전체인구의 2,322만 명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52만 명으로 10.89%를 차지함. 또한 대만 위생서에 따르면, 대만의 노년인구는 2014 273만 명으로 늘어나 전체인구의 11.6%를 차지, 2021년에는 392만 명, 16.54%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2011, 총 인구수는 약 2,300만 명

 

 ㅁ 기후

 

  대만의 북쪽과 남쪽은 아열대 기후와 열대 기후로 나뉨.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사계절이 있지만 뚜렷한 구분이 없으며, 여름은 길고 겨울은 짧은 편임. 여름과 겨울의 평균 기온은 각각 33, 13도임

 

  ○ 5 ~ 6월에 비가 많이 오며, 7 ~ 9월에는 태풍이 잦은 편임. 대만 북쪽의 경우엔 겨울에도 비가 자주 내림. , 전체적으로 습하고 강우량이 많다 할 수 있음

 

  연평균 기온은 북부가 22, 남부가 24도 정도이며, 평균 최저 온도는 12 ~ 17도로 일 년 내내 온화함

 

  연평균 강우량은 약 2,515 mm. 고온 다습한 기후로 중부지역에서는 1년에 벼농사를 이모작하며, 남부 지역은 삼모작까지도 가능함

 

 ㅁ 한국 교민 수 

 

     * 지난해 말, 대만 내 반한감정과 연평도 포격 도발 등으로 인해 한국 방문자수가 급감했으나 조금씩 회복하고 있음. 한편, 대만을 방문하는 한국인 수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구분

지 역 총 계

주 요 지 역

북부(대북/도원/신주 등)

재외동포총수

1,809

2,159

3,968

-

-

-

외국국적동포

109

311

420

-

-

-

영주권자

160

123

283

112

100

212

일 반

1,240

1,339

2,579

1,175

1,354

2,529

유학생

300

386

686

1,700

1,848

3,548

1,287

1,454

2,741

재외국민 등록 수

2,053

1,915

3,973

-

-

-

 

구분

주 요 지 역

중부(대중/가의/운림 등)

남부(대남/고웅/대동 등)

재외동포총수

-

-

-

-

-

-

외국국적동포

-

-

-

-

-

-

영주권자

24

12

36

24

11

35

일 반

167

208

375

198

163

361

유학생

191

220

411

222

174

396

재외국민 등록 수

-

-

-

-

-

-

 

* 출처 : 외교통상부 재외동포현황 (2011)

 


 

2. 정치·역사

 

 

ㅁ 정부 형태

 

  대만은 입헌민주공화제 정치체제 하에 행정/입법/사법/고시/감찰 등 5권 분립제를 채택하고 있음. 건립 이래 국민당 1당 지배정치를 편 대만 정부는 1989년부터 복수정당제를 도입하였으며 2000년 총통 선거에서는 야당(민진당)의 천수이볜이 국민당 후보 롄잔을 제치고 총통으로 당선되어 50년 이상 이어오던 국민당 체제가 중단됨. 하지만 2008년 제12대 총통 선거에서 마잉주 국민당 주석이 총통으로 당선되면서 다시 국민당 정권으로 교체되었으며, 마잉주 총통은 2012 5월 총통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하여 2015년에 임기를 마칠 예정임.

 

  정부 조직 구분

 

   - 총통 : 총통과 부총통의 임기는 4년임. 총통은 국가 원수이자 대외적으로 국가를 대표하며, 전국의 육해공군을 통솔함. 법에 의거해 법률 공포, 명령 발포, 계엄 선포 등의 권리를 가짐. 또한 헌법에 따라 직권을 행사하며, 총통부에는 비서장 1명과 부비서장 2명이 있음. 이밖에 국책 고문 및 전략 고문이 있으며, 국가 대계 및 전략, 국방 등의 사항에 대해 총통에게 의견을 제시하고 자문을 구함

 

   - 행정원 : 국가 최고 행정기관으로, 원장은 총통이 임명함. 행정원 회의를 구성해 원장을 주석으로 중대한 시정 방침을 의결하고 입법원에 법률, 예산, 계엄, 대사면, 선전 포고, 조약 등의 안건을 제출함. 행정원은 국가 행정실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4개 부() 8개 위원회(委員會), 3개 독립기관, 1개 중앙은행 등 총 29개 기관으로 구성된다. (2012년 개편)

 

   - 입법원 :  입법원은 국민투표를 통해 선출된 입법의원으로 구성된 조직으로서 각종 법령 및 예산을 심사하는 기관임. 입법위원 수는 기존의 225명에서 제7기부터는 113명으로 줄었으며 임기는 3년에서 4년으로 연장되었음. 대만의 정당 별 의석수는 총 113석으로 여당(中國國民黨) 73석으로 전체 65% 비중을 점유하고 있으며 민진당(民主進步黨) 33명으로 29%를 차지하고 있음. 입법원의 회기는 상하반기에 각각 1회씩 연간 2차례 개최됨. 상반기 회기는 2~5, 하반기 회기는 9~12월임.

 

   - 사법원 : 국가 최고 사법기관으로 총 15명의 대법관을 주축으로 구성되며, 헌법 및 법령의 해석권, 민사/형사/행정소송을 비롯한 총통/부총통의 탄핵 및 정당 위원 해산 관련 사안에 대한 심판권, 공무원 징계권, 사법행정권을 주관한다.

 

   - 고시원 : 고시원은 크게 고시부(考選部), 공무부(), 공무원보장 및 훈련위원회(公務人員保障培訓委員會), 공무원 퇴직위로기금 관리감독 위원회(公務人員退休撫?基金監理委員會)로 나뉨. 고시부(考選部)는 공무원고시 및 전문 직종 및 기술고시 등 국가고시를 주관하며, 공무부 ()는 공무원의 채용/위임/퇴직/면직/승진/보상 등을 주관함. 공무원 보장 및 훈련위원회(公務人員保障培訓委員會)는 공무원의 권리보장 및 훈련 및 연수 정책을 책임지고 관련 행정실무를 담당하며, 공무원 퇴직위로기금 관리감독 위원회 (公務人員退休撫?基金監理委員會)는 공무원의 퇴직위로기금을 관리 감독함.

 

 ㅁ 국가 원수

 

  총통 : 馬英九(마잉주), 2008 5 20일 취임, 2012 5월 재임.

  부총통 : 吳敦義(우둔이)

 

 ㅁ 수도 및 주요 도시

 

  수도 : 타이베이

  행정구역 : 2개의 직할시, 22개 현·시로 구성됨

  주요 도시 : 타이베이, 신주, 쑤아오, 타이중, 창화, 화롄, 타이난, 가오슝, 타이둥, 핑둥

  ㅁ 한국과의 관계

 

  개관

   - 1992 8, 단교, 정치·외교 단절

   - 1993 7, 비공식 관계 수립을 통해 경제 및 통상 등의 민간 교류 재개를 합의

   - 1994 5 ~ 1996 9, 4차례의 과실교역 회담 개최

   - 2003 1, 한국과 대만의 항공기 전세 취항, 대만 방문 우리 국민에 대한 무비자 입국 실시,

   - 2004 9, 한국-대만 민간항공 협정을 체결함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이전부터 한국과 대만은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1948 8 13일 한국과 대만은 공식 수교를 맺고 상호간 공관을 설치함. 1949년에는 대만 장제스 총통이 한국을, 1966년에는 박정희 대통령이 대만을 방문하기도 함. 양국은 1952년 항공협정, 1961년 무역협정, 1965년 문화협정, 1983년 해운협정, 1986년 항공운수협정을 체결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함.

 

  이처럼 45년 간 긴밀히 유지되던 양국의 외교관계는 1992 8 23일 한국이 중국과 수교를 맺기 위해 대만에 단교를 선언함으로써 종지부를 찍게 됨. 1971년 중국이 UN에 가입한 당시 비단 한국만이 아니라 기존에 대만과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국가들이 하나둘씩 대만과 단교를 선언하였으나, 문제는한국의 일방적 단교 선언이 대만 국민들에게 지울 수 없는 깊은 상처가 되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는 것임. 단교 후 대만은 한국 수입 자동차 쿼터제 폐지, 한국 과일 수입 금지, 한국 기업의 토지개발프로젝트 참여 금지 등 한국과의 모든 왕래를 중단함.

 

  ○ 1993 7월에 이르러 양국은 경제·통상 등 민간차원에서의 교류를 재개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서울과 타이베이에 민간교류 촉진을 위한 비공식 대표기구인 대표부를 각각 설치하였음. 그러나 양측의 항공 정기 노선이 재개된 것은 2005 3월에 이르러서임.

 

  한국과 대만은 서로 손에 꼽히는 중요한 무역 교역국임. 1991년 대만은 한국의 12대 무역 교역국으로써 교역규모는 31억 달러의 정도였으나, 2011년 대만은 한국의 6대 무역 교역국으로 올라섰으며 교역규모도 329억 달러로 크게 성장함.

 

  2011년 기준, 한국의 對대만 수출액은 182억으로 對오세아니아 국가(호주포함) 수출액보다 높으며, 56개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수출액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임. 대만은 한국의 6대 수출국임. (중국, 미국, 일본, 홍콩, 싱가폴 다음)

 

  한국의 對대만 주요 수출품으로는 반도체, 석유화학제품, 선박뿐만 아니라 화장품, 과일 등 생활용품에서 농수산품까지 다양하며, 대만에서 수입하는 제품 역시 반도체, 컴퓨터, 공구, 어류에 이르기까지 각양각색임.

  특히 한-대만은 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 등 IT산업 분야에서 표면적으로는 경쟁 관계가 부각되어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상당한 상호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양국의 주력산업인 반도체 산업을 예를 들어 보면, 반도체는 우리나라의 대대만 수출 및 수입품목에서 각각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양국 간 교역규모는 연간 120억 달러에 달함. (2011년 말 기준)

 

  IT뿐만 아니라 철강의 경우에도 대만의 對韓 수입 및 수출액이 각각 5, 6억 달러로 역시 양국 간 상위 10대 교역 품목임.

 

< 한국 - 대만 간 교역규모 현황 >

단위 : 천 달러, %

년도

수출

수입

무역수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

2006

12,995,658

19.6

9,287,534

15.4

3,708,124

-

2007

13,027,109

0.2

9,966,531

7.3

3,060,578

-

2008

11,461,972

-12

10,642,868

6.8

819,104

-

2009

9,501,115

-17.1

9,851,388

-7.4

-350,274

-

2010

14,830,490

56.1

13,647,080

38.5

1,183,419

-

2011

18,200,000

22.7

14,690,000

7.6

3,500,000

-

출처 : 한국무역협회

 

 

 

  < 2011년 對 대만 주요 수출 품목 >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품목명

금액

비중

1

반도체

5,435

31.9

2

석유제품

2,306

6.3

3

기초유분

1,153

4.4

4

석유화학 중간원료

852

3.9

5

정밀화학원료

707

3.5

6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521

3.1

7

철강판

501

2.8

8

컴퓨터

453

2.8

9

반도체 제조용 장비

400

2.5

10

금은및백금

335

2.3

 

출처 : 한국무역협회

 

< 2011년 對 대만 주요 수입 품목 >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품목명

금액

비중

1

반도체

7,261

49.5

2

컴퓨터

1,431

10.2

3

기구부품

673

4.4

4

철강판

611

3.7

5

무선통신기기

319

3.0

6

플라스틱제품

263

1.9

7

기타 석유화학제품

253

1.7

8

기타 중전기기

252

1.7

9

기초유분

206

1.6

10

정밀화학원료

173

1.2

 

출처 : 한국관세청

 

       

'대만 지리역사(지리역사)'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대만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