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12.19 2008

중국식품시장 동향 - 식품산업신문

조회1113
 

중국식품시장동향 

투자장벽 없고 성장 빨라 외국기업 다수 진출

1위 산업 부상…GDP 25% 차지

대기업 중심 재편…인수·합병 활발

■ 중국의 식품 시장개요


중국 식품산업은 중국정부에서 최초로 개방한 산업이며 세계 유명 브랜드가 가장 많이 진출한 산업이다. 또 중국 내자 기업발전이 가장 빠른 산업이며 투자에 장벽이 거의 없는 산업이기도 하다. 따라서 세계 50대 식품업체가 이미 독자 혹은 합자 등 방식으로 중국에 진출하고 있다.


중국 식품산업의 총생산액은 40,000억 위안으로 GDP의 1/4를 차지하며 중국 제1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 식품공업이 16,100억 위안으로 연 평균 증가속도는 15%이상이며 식품판매(요식업 및 유통 등 포함)는 22,000억 위안으로 식품 수출은 4,000억 위안이다.


그리고 거시 경제 조정으로 인한 원재료의 원가 하락으로 식품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산동, 길림, 안휘 등 농업 성은 식품산업을 지방경제의 지주산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또한 글로벌화와 중국 내 시장경쟁의 심화로 식품산업은 대기업 중심으로 기업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다. 기업들은 재편을 통해 제조환경의 최상화, 기업 이익최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은 브랜드의 소수화를 촉진하고 있다.


세계 유명 식품기업인 Philip·Morris Cocacole Pepsi Unilever Nestle IBP Danone Kirin Sanyo-Food Asahi ISE 등 다국적 기업은 중국시장에 진출하여 합자 혹은 독자법인을 설립하였으며 대규모적인 인수합병을 했다.


미국 AB, 남아프리카 SAB는 할빈맥주(HB)를 인수하였으며 일본 Asahi맥주와 Itochu는 Masterkong에 출자하였으며 UniF는 匯源果汁(Huiyuan), 完達山乳業(Wondersun)에 주식 출자하였으며 Danone은 Lebaishi를 합병하였고 Wahaha와 합자하는 등이 이들 실례이다.


맥주, 유업, 음료, 라면 등 산업에 있어 인수, 합병의 움직임은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중국 기업의 경우, 청도맥주(Tsing Tao Beer)은 1994년부터 인수 합병을 시작하였으며 2002년 현재 46개 기업을 성공적으로 인수 합병했다. 생산능력은 1996년의 37.5만 톤에서 380만 톤으로 증가하여 현재 중국 시장 점유율 11%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식품산업은 双匯(Shuanghui), 五粮液(Wuliangye), 靑島啤酒(TsingTao Beer), 伊利(Yili), 蒙牛(Mengniu) 등 매출액이 100억 위안 이상인 업체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인수 합병을 등을 통해 규모를 확충하였으며 향후 5년간 유업, 육류, 수산물가공, 와인, 쥬스, 아이스크림, 요식업 규모는 연 평균 10%이상 발전할 전망이어서 더욱 많은 자금이 식품산업으로 투자될 전망이다.


한편 중국 식품시장은 1) 대기업에서 원가와는 무관하게 시장경쟁을 하며 2) 저 원가 경쟁이 심화되며 3) 이윤이 거의 전무하고 4) 소수의 원가 높은 기업과 경쟁력 없는 기업은 생존의 기로에 서 있으며 5) 기업 파산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6) 기업재편이 빈번하고 7) 품질과 원가 우세로 승부하는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전반적으로 대기업 중심으로 매출 순이익이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맥주 및 미원 등의 경우에는 거의 소수의 주요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또 대기업이 가격경쟁에 참여하면서부터 시장은 두 가지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첫재, 기업들은 저가를 유지하는 동시에 원래보다 품질을 더욱 중요시하며 브랜드 인식이 한층 업그레이드 됐다.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적인 품질수준이 높아졌으며 동시에 시장 내 주요 브랜드의 시장 독식이 심화돼 브랜드 마케팅 능력 및 자금력이 충분한 기업은 점점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시작했다.


둘째, 경쟁의 심화로 대다수 기업의 실제 이익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신생 기업의 시장 진출이 어려워 졌다.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해서는 기업은 원가절감 외, 과학적인 경영과 다각적인 서비스로 고객만족도를 높여야만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중국 식품산업은 발전을 하였으나 산업 체인이 완전히 구축되지 않았으며 산업 집중도가 낮고 산업 내 구조가 분산되고 있다. 이에 최근 5년간 대기업은 생산, 물류, 유통 등 체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중국 식품산업 문제점


먼저 전체적인 산업구조가 합리적이지 못한 것을 들 수 있다. 식품자원의 1차 가공이 많고, 심가공과 정밀가공이 적으며 담배, 술과 같은 습관성 식품은 많으나 특정 소비계층이 필요로 하는 특수 식품의 발전이 미미하다.


둘째 제품구조의 경우, 제품에 대한 R&D 투자 부족으로 고급화하는 시장 수요에 대한 공급의 양질화가 부족한 실정이다.


셋째 지역구조의 경우, 식품 가공 생산량에 있어 지역별 편차가 큰 것이 문제다. 서부지역 12개 성의 식품공업은 중국 전체 식품공업의 13%의 비중을 차지하지만 동부의 산동, 광동, 강소 및 중부의 하남 등 4개 성의 식품공업은 전체 식품공업의 38%를 차지하고 있다.


넷째 식품기업의 규모가 전반적으로 작으며 생산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실정이다.


다섯째 식품시장, 식품공업과 농업원료기지의 산업 체인이 아직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식품기업과 농업 생산주체 사이에 아직 완전한 생산과 공급, 이익분배, 리스크 대응체제가 구축되지 않았다.


여섯째 식품기술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고 가공기술의 누적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현재 식품공업의 과학기술성과를 보면 1차 가공과 심가공·정밀가공 간의 현저한 성과의 차이가 있다. 또 폐기물의 종합이용 연구가 적고 개발능력이 미약해 자체개발, 창조능력이 부족하고 산업관리에서 필요한 기술기초사업도 부족한 면이 있다.


일곱째로 식품공업 표준시스템과 품질관리시스템이 아직 불완전하다. 중국의 대부분의 가공식품이 국가 혹은 산업표준이 있으나 보편적으로 기준이 오래되었고, 책정주기 또한 길어 현재 발전하는 중국경제와 국민생활의 제고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식품안전과 환경오염문제가 많으며 식품산업과 연결된 식품설비가 낙후된 것을 지적할 수 있다.


■ 식품의 수요동향


중국인의 식습관 변화로 전통적 생필품의 구매는 감소하였고 가공식품이나 가공 반제품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농민 인구가 전체인구의 64%를 차지하며, 농민 중심의 사회이며 농업 노동력이 전체 노동력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2005년 중국 소비품 소매총액은 6억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하였으며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평균 증가율은 9.9%다.


2005년 식품소비지출은 중국 국민 소비지출의 42%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소비지출은 GDP의 57%를 차지해 선진국의 80%와 개도국의 74% 대비 향후 소비성장의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 ‘투자형 경제’ 에서 ‘소비형 경제’ 로 전환하고 있는 단계이다.


중국 식품에서 무역적자가 많은 제품은 주로 콩, 강냉이, 밀, 보리 등 곡물과 분유이다.


중국의 연간 콩 수입량은 2,000만 톤이며 중국 전체 수요량의 60%를 차지하며 강냉이 수요량은 800만 톤이고 밀은 500만 톤이다. 보리는 연간 수요량이 300만 톤이며 2/3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 중국 분유 연간 수입량은 15만 톤으로 전체 중국 분유 생산량의 20% 정도다.


한편 인민페 평가절상으로 인해 가격경쟁력이 있는 수입식품으로는 식용유, 와인, 설탕이다.


2005년 종려유, 콩기름, 유채 기름의 수입량은 각각 310만 톤, 350만 톤, 120만 톤이며 와인의 연간 수입량은 5만 톤으로 전체 수요량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설탕의 연간 수입량은 200만 톤이다.


그리고 2005년 매출액 15위 제품종류에서 식품종류가 8가지이며 그 순위는 요구르트, 유아분유, 인스턴트 커피, 청량음료, 과자, 스낵, 추잉검, 라면 순이다.


중국 라면 시장규모는 400억 위안으로 향후 10년에는 1000억 위안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그 가운데서도 튀김 라면이 시장을 점유하던 시대인 2005년 11월, 五谷道場에서 “건강을 위해 튀긴 음식 사절”이란 홍보어로 튀기지 않은 면발을 주 아이템으로 한 신개념 라면을 출시했다.


현재 시장 점유률은 3%에 불과하지만 웰빙·건강의식이 점점 형성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이 이들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과자시장의 경우 1인당 소비량은 1㎏ 정도다. 중·고급시장은 초기에 중국시장에 진출한 해외 브랜드와 대만 브랜드가 점유하고 있으며 주 브랜드는 Danone, Nabisco, Cibao 등이다.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과자유형은 샌드위치 과자, 쿠키, Suda, 바삭과자, 단 과자로 이들 종류의 과자는 종류가 다양하고 맛이 좋다. 특히 Suda 비스킷은 중·노년층 소비자에게 환영을 받고 있는데 이 제품은 부드럽고 소화가 쉽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리고 특정 소비계층을 위한 특수 과자도 잠재력이 있는 분야로 최근 매출액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당뇨병환자 대상의 무가당 과자, 어린이 대상의 소화가 잘되는 과자, 칼슘 및 철 등 영양소를 보충한 과자, 운동에 필요한 고칼로리 과자 등이 있다. 포장은 장방형포장과 롤 포장이 유행이다.


중국 커피시장은 수요량이 약 3만톤 정도이다. 이 가운데 인스턴트 커피는 60%를 차지하고 있는데 인스턴트 커피 시장에서 Nescafe는 전체 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다. 그 외에 Maxwell, Moka가 각각 17%, 3%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인스턴트 커피의 연간 증가율은 40%, 전통커피의 증가율은 30%로 성장세가 빠른 편으로 2010년 커피 수요량은 12만 톤, 시장규모는 100억 위안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밖에서 혼합 조미료의 경우 연간 매출량이 100만 톤으로 연 20%의 증가속도로 성장하

지만 전체 조미료의 20% 시장만 차지하고 있다.


■ 식품의 생산동향


2006년 식품가공 총 생산액은 22,922.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6.36% 증가했으며 매출액은 22,165.8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5.45% 증가했다.


식품가공업은 중국경제에서 발전이 가장 빠른 산업중의 하나로 2006년, 기업수는 25,509개로 2005년보다 2,456개가 증가했다. 이 가운데 농부산물 식품가공 업체는 15,813개, 식품 제조업체는 5,920개, 음료 제조업체는 3,777개 이다.

 

또 과자 생산공장이 2,000여 개 정도로 생산량은 연 평균 10∼15%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2005년 중국 과자생산량은 136.75만 톤으로 생산업체는 주로 하남성, 산동성, 광동성, 복건성, 하북성, 사천성에 집중되어 있다. 북경, 상해, 천진은 비록 과자 생산기업이 많지는 않지만 다국적 기업인 Danone, Nabisco 등 기업이 진출해 있다.


생산량 순위는 하남성(33.27만 톤), 산동성(24.07만 톤), 광동성(19.03만톤), 하북성(11.21만 톤), 복건성(9.86만 톤), 상해시(8.54만 톤), 북경시(5.10만 톤), 사천성(3.94만 톤), 천진시(2.98만 톤) 순이다. 이들 지역의 생산량은 전체 생산량의 86.8%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과자의 제품구조의 경우, 중·고급제품의 시장점유율이 점점 증가하며 저급제품은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중·고급쿠키는 기존제품에서 영양보건형 과자, 기능성 과자, 기호 과자, Suda과자 등으로 점점 시장을 세분화 할 것으로 보인다.


조미료 시장의 경우 조미료 시리즈화와 고급화 추세가 점점 분명해지고 있다. 조미료 업체의 품질상승과 브랜드 구축 인식이 점점 높아지며 제품포장, 시장홍보가 향상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분산식 전통 생산방식으로부터 그룹화, 규모화로 발전해 선진적인 관리방식과 영업수단으로 높아지고 있다.


한편 2005년 라면 생산량은 328만 톤으로 전년 대비 18.6% 증가하였으며 2006년은 431만 톤으로 전년 대비 31.47%로 증가했고 추잉검 시장은 연간 10%씩 증가해 2006년 생산액은 40억 위안이다. 

식품음료신문

'중국식품시장 동향 - 식품산업신문'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중국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