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산수요 동향
중국시장에서 주류소비량 99%이상을 차지하는 주종은 포도주(葡萄酒), 맥주(?酒), 백주(白酒), 황주(?酒)
등 4가지이며 2003년 중국 주류 총 생산량은 3200만톤에 달했다. 그 중 맥주생산량이 2540만 톤으로 가장
많으며, 백주가 331만3500톤으로 2위였다.
중국의 백주(白酒)는 도수가 매우 높은 술로 익숙치 않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마시기 쉽지 않음. 현재 60
도 이상의 高度酒는 시장에서 거의 볼 수 없으며 50~56도의 백주가 高度酒, 40~49도는 강도주(降度酒),
39도 이하의 백주는 底度酒로 분류되고 있다. 현재 39도 이하 저도주의 생산량이 백주 전체 생산량의 40%
정도를 차지한다.
중국 백주시장의 시장규모는 500억위앤(1위앤은 한화 130원에 상당)에 달하고 백주 제조업체가 3만7000
여개사 있음(이중 연간 생산량이 2만톤이상인 기업은 34개사에 불과) 3만7000여개 업체중 적자를 기록하
고 있는 기업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부터 백주의 생산증가 속도가 빨라져 1996년 중국백주생산량이 역사상 최고인 801만3100톤에(건
국초기의 80배) 달하게 됐다.
중국 백주 생산량은 1975년에서 1980년까지 69% 증가했고, 1981년에서 1985년까지 57%, 1986년에서
1990년까지 52%, 1991년에서 1995년까지 50.6%증가했으나, 1996년에서 2000년까지는 그 이전대비 23%
감소했다.
1996년 이전까지는 중국백주업계의 발전이 너무 빨라서 통제 불능에 가까웠고, 1996년 이후 국가의 산업
정책 제어 수단이 효과를 발휘하여 그 생산량이 감소하기 시작한 것이다.
전체 주류시장에서 백주가 차지하는 비율도 ‘1992년 63%에서 1996년 23%로 떨어진 후 2002년에는 18%
대로 감소했다. 이처럼 백주 소비가 줄고 있는 것은 소비자들이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포도주 등 순한 술
을 찾는 경우가 많아진데다 백주 애주가도 양이 많은 저가품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값비싼 고급 술
을 많이 찾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주(國酒)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마오타이(茅台)와 2001년부터 최고급품으로 평가받고 있는 쉐이
징팡(水井坊)과 같은 고급 백주는 전체 백주 생산량 감소세와는 관계없이 인기를 끌고 있다.
마오타이는 전체 백주 생산량이 감소한 가운데도 연간 생산량이 1998년 5365톤에서 2003년 9757만 톤으
로 5년새 81.9% 늘었으며 쉐이징팡은 술 자체도 고급이지만 술병 내부에 장식품을 넣어 고급 연회용이나
선물용으로 중국인 사이에 인기를 끄는 등 고급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만7000여 개의 백주 생산업체중 상위 20개 업체가 업계 전체 이윤의 97%를 독식하고 있어, 중소 주류업
체에 대한 지분참여 등을 통해 백주시장에 들어오는 외부 투자자들은 대부분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백주시장에서 농향형(?香型)백주가 70%의 비중을 차지하며 청향형(?香型)백주가 15%, 겸향형(兼香型),
장향형(?香型) 및 기타 종류가 15%를 차지하고 있다. 북방사람들은 기후, 체질, 전통으로 인해 고도주를,
남방지역은 저도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백주(白酒) 중국 지역별 브랜드인지도 및 소비경향
- 산동: 산동성은 주류 생산 및 소비 지역으로 백주 생산량이 국내에서 줄곧 1위를 자리잡고 있다. ?陵, 孔府家, 景芝 등 현지 브랜드가 산동성의 대부분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산동성 외 인지도가 높은 타 지역 브랜드 제품(五粮液, 小糊?仙, 全?, 古井?, 金六福, 北京二??, 尖庄)도 일정한 시장을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조사에 따르면 현재 산동성에서는 30위앤 이하, 38도 좌우의 중, 저급백주가 소비주류로 되고 있다.
- 강소성 :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의 백주소비의 차이가 비교적 심한바 쑤베이(?北)는 강소성 백주 주산지로 불리우고 있다. 이 지역에 유명한 생산기업은 三?一河, 洋河, ??, 今世?, 등이 있으며 현지 제품이 쑤베이 지역의 75% 이상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쑤난(?南)지역 주류시장에는 성외 브랜드가 위주인데 稻花香, 五粮春, ?州老?, ?牌, 古井 등 브랜드의 소비량이 대부분 시장을 차지한다. 소비수준은 쑤난(?南)지역이 쑤베이(?北)보다 높으며, 강소성 전체적으로 볼때 소비경향은 가격이 비교적 싼 농향형 고도주가 위주다.
- 상해, 절강: 절강성은 황주(?酒)의 발원지다. 동 지역에 백주생산업체가 극히 적으며 판매되는 백주는 거의 외부지역 브랜드임, 상해, 절강 지역은 전국 대부분 시장과 마찬가지로 고급제품은 五粮液, 茅台, ?南春 등이며 중급제품은 ?州老?, 伊力老?, 古井? 등 브랜드가, 저급제품은 尖庄, ?竹大曲등 브랜드임, 상해, 절강지역의 소비자들은 광고, 판촉활동에 근거하여 브랜드를 인정하는 경향이 비교적 심하며 그 다음으로 가격요소를 고려하는 편이다.
- 안휘성: 안휘성의 백주 생산, 소비는 비교적 성숙된 단계에 들어섰으며 성외제품이 안휘성 주류시장에 대한 충격이 크지 않음, 안휘 백주시장 대표 브랜드인 古井, 口子는 여전히 각자의 시장을 확보하고 있으며 沙河, ?子 등 새로운 브랜드도 시장에서 일정한 비중을 점하고 있는 상태다. 주로 고려하는 요소는 가격, 브랜드, 외관이다.
□ 중국 대형백주기업으로는 귀주 마오타이주(酒)그룹, 우량에그룹, 사천 투오파이그룹 등이 대표적이다.
- 귀주 마오타이주(?州茅台酒) : 귀주 마오타이주 공장 그룹의 총본부는 귀주성 북부의 경치가 수려한 모태진(茅台?)에 위치하며, 부지면적은 127만2700평방미터에 이른다. 귀주 마오타이주 공장 그룹은 약 20개에 달하는 기업구조로, 백주, 맥주, 포도주, 증권, 은행, 보험, 관리, 과학연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중국 귀주 마오타이창유한책임공사의 전신은 중국 귀주 모태주창으로, 1997년 성공적으로 유한책임공사로 체제를 전환했다. 현재 총 자산 26억4500만원(元)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 유일의, 국가 일급 기업, 국가특대형기업, 국가우수기업(금마상), 전국 품질효율형 선진기업이라는 여러 타이틀을 지닌 백주생산업체다. 2003년 귀주모태집단공사는 마오타이주의 생산과 관련제품을 1만1794.49톤 가공하여, 주 영업수입 24만101.79만원(元), 순이익 5만8674.48만원(元)을 실현했는데, 그 중 순 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55.97% 증가했다.
홈페이지 : http://www.moutaichina.com/index6.asp
- 우량에(五粮液): 우량에주식회사의 전신은 우량에 주창으로 98년 체제를 바꾸어 심천교역소에서 상장했다. 주로 우량에와 관련제품의 생산, 경영에 힘쓰는 백주기업으로 회사 부지면적이 7.5평방 킬로미터, 직원은 1만3000명이다. 2003년 우량에 관련 주류를 25만톤 판매했고, 영업수입은 121억400만원(元)이었다. 회사의 주력제품 우량에는 백주의 걸작으로 꼽히며, 브랜드 가치는 269억, 현재 생산능력은 40만톤에 달한다.
홈페이지 : http://www.wuliangye.com.cn/
- 사천투오파이(四川?牌): 사천에 위치하고 있는 사천투오파이그룹주식회사는 국가대형일급기업으로 자회사 20개, 총 자산 28억원(元), 직원 5000여명, 부지 4.5평방 킬로미터를 보유하고 있다. 주류업을 지주업종으로 하여 과학기술, 공업, 무역을 한데 모아, 지역이나 업계를 초월한 다원화된 대형기업그룹으로 성장, 국무원이 정한 전국 100개 현대기업제도 건립 시범기업에 올라갔다.
홈페이지 : http://www.chinatuopai.com/
2. 수출입동향
□ 2004년 한국 소주의 해외수출물량은 총 1000만상자(700ml*12개 기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금액은 1.25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8% 증가했다. 이는 2003년 보다 10.8%증가한 1025만 상자이며 국가별로 일본이 966만 상자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서 미국이 32만상자로 2위, 중국이 11만상자로 3위를 차지했다. 또한 제조사 별로 진로(?露)가 6899만달러로 55%를 차지했으며 두산(斗山)이 5080만달러, 보해가 342만달러를 수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 진로는 일본지역에 2003년보다 9% 증가한 6297만달러를 수출하여 일본소주시장에서 7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두산도 2004년 일본지역에 4835만달러를 수출하여 전년대비 27%증가했다.
□ HS CODE : 22089090(Spirituous beverages, nes)
- 관세 : 10%
- 부가가치세 : 17%
- 종합세율 : 28.70%
(1)수출현황
□ 중국의 수출규모는 지난 2002년 9297만6000달러에서 2003년 9600만1000달러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으며, 2004년에는 1억1271만2000달러로 전년 대비 17.4% 증가했다.
□ 2004년 수출 순위는, 홍콩이 4935만1000달러로 1위, 그 다음으로 일본(1539만1000달러), 필리핀(594만3000달러), 미얀마(504만1000달러), 한국(406만7000달러), 마카오(366만2000달러), 미국(266만3000달러)순이었다. 한국은 2003년의 368만7000달러대비 10.3%증가했다.
(2)수입현황
□ 중국의 수입규모는 2002년 551만9000달러에서 2003년의 847만달러로 전년 대비 53.5% 증가했으며, 2004년에는 637만달러로 전년 대비 24.8% 감소됐다.
□ 2004년 수입국별 순위는 스페인이 248만달러로 1위, 그 다음으로 일본(165만5000달러), 한국68만9000달러), 호주(58만9000달러), 대만(42만6000달러), 멕시코(20만5000달러)순이었다.
□ 한국 수입은 지난 2002년 39만8000달러에서 2003년의 36만8000달러로 2002년 대비 7.7% 감소됐으나, 2004년 68만9000달러로 전년 대비 87.5% 상승했다.
(3) 지역별 현황
□ 2004년 지역별 수입 현황은 광동성이 341만8000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 상해(116만4000달러), 북경(96만5000달러), 복건(38만9000달러), 산동(21만7000달러), 요녕(13만2000달러)순이었다.
□ 상해 수입은 지난 2002년 18만3000달러에서 2003년의 17만6000달러로 전년 대비 3.5% 감소했으나, 2004년 116만4000달러로 전년 대비 561% 폭증했다.
□ 2004년 對 한국수입에서 북경시가 36만4000달러로 1위, 다음으로 산동(15만9000달러), 요녕(13만달러), 광동(2만3000달러), 상해(1만3000달러)순이었다.
2001-2003년 중국의 맥주 수출통계(HS : 2203) (단위:천US$,%)
구 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합 계 |
40,656 |
2.7 |
68,128 |
67.6 |
76,180 |
11.8 |
대만 |
0 |
- |
24,052 |
- |
24,794 |
3.1 |
홍콩 |
12,837 |
6.7 |
15,072 |
17.4 |
18,102 |
20.1 |
미국 |
5,523 |
5.9 |
5,810 |
5.2 |
5,278 |
-9.2 |
한국 |
1,781 |
-40.3 |
1,563 |
-12.2 |
4,075 |
160.7 |
말레이시아 |
776 |
548.7 |
1,925 |
148.3 |
3,776 |
96.1 |
마카오 |
3,322 |
10.9 |
3,472 |
4.5 |
3,667 |
5.6 |
(*자료원: 중국무역통계, KITA)
2001-2003년 중국의 맥주 수입통계(HS : 2203) (단위:천US$,%)
구 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합 계 |
69,428 |
-25.3 |
52,461 |
-24.4 |
50,145 |
-4.4 |
독일 |
9,518 |
2,280.3 |
25,244 |
165.2 |
22,284 |
-11.7 |
멕시코 |
13,107 |
1.9 |
15,512 |
18.4 |
15,959 |
2.9 |
스페인 |
134 |
- |
2,130 |
1,483.6 |
5,614 |
163.6 |
네덜란드 |
23,740 |
-53.4 |
5,784 |
-75.6 |
2,921 |
-49.5 |
한국 |
940 |
40.6 |
1,602 |
70.3 |
1,404 |
-12.3 |
말레이시아 |
752 |
41.6 |
428 |
-43.2 |
1,006 |
135.3 |
(*자료원: 중국무역통계, KITA)
2001-2003년 중국의 황주/과실주 수출통계(HS : 2206) (단위:천US$,%)
구 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합 계 |
26,457 |
-6.9 |
27,244 |
3.0 |
27,205 |
-0.1 |
일본 |
16,364 |
-9.9 |
15,669 |
-4.2 |
14,477 |
-7.6 |
미국 |
1,990 |
-14.5 |
2,692 |
35.3 |
2,884 |
7.2 |
홍콩 |
2,289 |
0.1 |
2,611 |
14.1 |
2,248 |
-13.9 |
말레이시아 |
1,040 |
7.9 |
1,258 |
21.0 |
1,121 |
-10.9 |
싱가포르 |
918 |
-11.1 |
1,016 |
10.7 |
907 |
-10.7 |
이탈리아 |
686 |
6.8 |
653 |
-4.8 |
507 |
-22.4 |
(*자료원: 중국무역통계, KITA)
2001-2003년 중국의 황주/과실주 수입통계(HS : 2206) (단위:천US$,%)
구 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합 계 |
642 |
4.0 |
660 |
2.8 |
1,296 |
96.3 |
일본 |
137 |
-17.4 |
354 |
157.6 |
1,011 |
185.4 |
스웨덴 |
0 |
- |
27 |
34,057.5 |
99 |
260.7 |
뉴질랜드 |
417 |
23.1 |
161 |
-61.4 |
47 |
-71.1 |
이탈리아 |
11 |
14,170.3 |
11 |
2.0 |
27 |
150.6 |
영국 |
12 |
-15.6 |
5 |
-61.9 |
25 |
432.6 |
캐나다 |
2 |
- |
1 |
-71.2 |
19 |
3,509.2 |
(*자료원: 중국무역통계, KITA)
2001-2003년 중국의 백주/증류주 수출통계(HS : 2208) (단위:천US$,%)
구 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합 계 |
62,918 |
27.8 |
96,002 |
52.6 |
96,801 |
0.8 |
홍콩 |
28,794 |
5.7 |
41,421 |
43.9 |
42,230 |
2.0 |
일본 |
5,333 |
172.5 |
8,017 |
50.3 |
14,529 |
81.2 |
필리핀 |
3,311 |
61.7 |
6,893 |
108.2 |
9,559 |
38.7 |
한국 |
5,182 |
81.5 |
3,651 |
-29.5 |
3,701 |
1.4 |
마카오 |
2,547 |
35.2 |
2,509 |
-1.5 |
3,254 |
29.7 |
미국 |
2,312 |
9.1 |
1,971 |
-14.7 |
2,417 |
22.7 |
(*자료원: 중국무역통계, KITA)
2001-2003년 중국의 백주/중류주 수입통계(HS : 2208) (단위:천US$,%)
구 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합 계 |
45,690 |
37.6 |
62,759 |
37.4 |
92,361 |
47.2 |
프랑스 |
27,512 |
33.1 |
43,475 |
58.0 |
60,928 |
40.2 |
영국 |
9,608 |
66.4 |
9,631 |
0.2 |
17,187 |
78.5 |
스페인 |
3,000 |
54.5 |
3,540 |
18.0 |
6,625 |
87.1 |
미국 |
1,091 |
15.2 |
1,538 |
41.0 |
2,193 |
42.6 |
한국 |
712 |
33.4 |
1,244 |
74.8 |
1,265 |
1.6 |
스웨덴 |
72 |
-46.9 |
415 |
474.9 |
610 |
47.1 |
(*자료원: 중국무역통계, KITA)
2001-2003년 중국의 포도주에서 주조한 열성주 수출통계(HS : 220820) (단위:천US$,%)
구 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합 계 |
321 |
144.8 |
2,198 |
585.6 |
248 |
-88.7 |
홍콩 |
263 |
624.1 |
375 |
42.5 |
132 |
-64.8 |
미국 |
4 |
-49.6 |
12 |
169.4 |
58 |
392.7 |
싱가포르 |
4 |
- |
568 |
15,037.7 |
0 |
- |
태국 |
4 |
-89.9 |
25 |
566.7 |
18 |
-30.0 |
북한 |
0 |
- |
1,183 |
- |
0 |
- |
말레이시아 |
0 |
- |
33 |
- |
0 |
- |
(*자료원: 중국무역통계, KITA)
2001-2003년 중국의 증류포도주에서 주조한 열성주 수입통계(HS : 220820) (단위:천US$,%)
구 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금 액 |
증가율 |
합 계 |
26,404 |
34.5 |
42,835 |
62.2 |
60,053 |
40.2 |
프랑스 |
26,361 |
39.4 |
42,724 |
62.1 |
59,860 |
40.1 |
이탈리아 |
5 |
202.8 |
78 |
1,442.3 |
71 |
-8.3 |
미국 |
0 |
-98.0 |
7 |
3,550.0 |
33 |
365.0 |
영국 |
0 |
- |
0 |
- |
32 |
- |
스페인 |
0 |
- |
0 |
- |
14 |
- |
일본 |
0 |
- |
5 |
- |
0 |
- |
(*자료원: 중국무역통계, KITA)
3. 경쟁동향
□ 중국 백주시장내 외국제품은 대만, 한국, 일본산이 주류이며,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대만 '88坑道', '金?高粱', 한국 '참이슬', '山' 등이 있다.
□ 상해지역의 경우 진로소주가 2002년까지 한국소주시장을 거의 점유했으나, 최근 기타 한국소주 브랜드가 중국시장에 대한 진출을 본격화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진로(참이슬)소주와 주로 경쟁하고 있는 브랜드는 산, 백세주 등이며, 이들은 모두 한국식품점, 한국음식점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 (주)두산은 2002년 상해에 사무실을 오픈하였으며 현재 上海金源酒??展有限公司에서 대리판매하고 있다.
- 2005년 3월2일, 한국 국순당(??堂)은 중국 북경(北京)에 한국 전통술과 음식을 판매한는 대형 외식법인"백세주가(百?酒家)"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에서 '백세주'를 비롯한 한국의 전통 술과 음식을 알릴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 안정적인 유통망을 확보해 본격적인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국순당(??堂)은 최근 중국의 17개성을 담당하는 주류총판과 판매계약을 체결해 전국에 유통망을 구축했다.
4. 가격동향
□ 현재 중국내 유통되고 있는 한국소주가격은 20~45위앤(예로 참이슬)으로 슈퍼 및 한국식품점에서 판매되는 소매가격은 20위앤 정도다.
□ 중국 백주시장에서 인지도가 가장 높은 마오타이(茅台)의 가격은 380~420위앤대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막상막하의 경쟁력을 구비한 우량예(五粮液)의 가격도 350~400위앤에서 유통되고 있다.
5. 유통구조
□ 무역관의 조사에 따르면 소주의 주요 판매경로는 아래와 몇 가지 방식이 주가 되고 있다.
(1) 공급상 =========▶ 대리상(혹은 딜러) ===========▶ 소비자 |
설명) 대리상 운영 : 소주 공급업체에서 현지의 대리상 혹은 식품 유통업체를 통해 직접 소비자한테 판매하는 방식
(2) 공급상 ===▶ 대리상(혹은 딜러) ===▶ 대형매장 ===▶ 소비자 |
설명) 매장판매 : 대리상들이 공급상으로부터 소주를 공급받아 대형매장을 통해 판매
(3) 공급상 ===▶ 대리상(혹은 딜러) ===▶ 식품점 ===▶ 소비자 |
설명) 식품점판매 : 한국소주의 주요 판매경로로 대리상( 대리상들은 ??에 많이 집중됨)들이 한국으로부터 소주(진로, 두산 등)를 수입하여 다시 해당 지역의 한국품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판매함
(4) 공급상 =====▶ 대리상(혹은 딜러) ===▶ 식당 ===▶ 소비자 |
설명) 식당판매 : 주로 한국, 일본 식당을 통해 소주가 판매되는데, 상해의 경우 한식당은 거의 대부분 산, 참이슬 위주로 판매되고 있음
6. 수입관리제도
□ 국가가 제정한《수입주류국내시장관리방법》의 관련규정에 따른다.《수입주류국내시장관리방법》은 국가경무위, 국가공상국, 세관총서, 국가기술감독국,위생부, 국가상검국이 연합으로 제정하여, 수입주류 국내시장의 관리, 수입주류 국내시장경영질서의 보호, 생산자와 경영자 소비자의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한다.
□ 국가경무위, 국가공상행정관리국, 위생부, 세관총서, 국가기술감독국과 국가 수출입상품검사국에서 그 직능에 따라 수입주류에 아래와 같은 관리를 시행한다.
- 세관감독감시관리
- 위생감독감시관리 (위생검역,“수입식품위생감독검사표시”와 위생증서관리)
- 품질감독관리
- 시장경영행위와 시장질서감독관리
- 세금징수관리 등
□ 수입식품위생, 품질감독검사기구는 중국내의 수입주류 진입에 대하여(면세수입포함)감독검사를 시행함. 수입업체는 수입주류수출국(지역)의 원산지증명을 제출해야 한다. 주류의 수입은(면세주류 불포함)중국의 《식품라벨통용표준》과 관련규정에 의거, 중문표시를 붙이며 수입식품위생, 품질감독검사기구는 본 규정에 의거 수입주류에 대한 감독을 시행한다. 감독검사에 합격한 표시로 “수입식품위생감독검사표시”를 붙이고,위생증서(원본,사본)를 발급한다.
□ 세관은 수입주류에 적법한 감독관리를 시행하여, 관세를 징수하고 기타 세금을 부과하며, 밀수를 적발한다. 세관은 대외무역경제주관부문에서 서명하고 발급한 수입화물허가증과 수입식품위생감독검사기구가 서명하고 발급한 통지서로서 세금을 징수하고 통관을 허락한다.
□ 수입 주류의 도매에 종사하는 업체는 아래의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
- (一)등록자본(금),경영입지와 설비의 부합(二)건전한 도매기업관리제도의 구비(三)수입주류에 관한 지식 있는 전문인력(四)안정적인 도매영업 네트워크(五)“수입식품위생감독검사표시”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六)위생행정부문에서 발행한 위생허가증(七)국가법률과 법규에서 규정한 기타조건에 부합하다.
□ 수입주류영업에 종사하는 기업은 아래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 (一)수입화물허가증의 보유(사본 가능), 세관납세통지서(사본 가능),위생증서(원본,사본), 판매 될 수입주류는 반드시 “중문표시”와 “수입식품위생감독검사표시”를 붙여야 함
(二)수입주류위생감독검사표시,인증표시, 중문표시를 위조하거나 변조해서는 안됨
(三) 위조판매를 할수 없음
(四)밀수된 수입주류를 판매할수 없음
(五)품질, 위생표준 등의 관련업무 교육을 받아야 함
작성일자 : 2005년 3월 7일
-출처 : kotr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