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에 대한 일본소비자들의 인식 조사결과
조회1186한국식품에 대한 일본소비자들의 인식 조사결과(요약)
1. 조사개요
◦ 조사목적 : 한국식품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대일수출 마케팅전략 수립
◦ 조사기간 : 2005. 5. 11 ~ 5. 15 (5일간)
◦ 조사방법 : 일본 소비자 대상 설문조사(11개 문항)
◦ 응답자수 : 547명 (남성 222명, 여성 323명, 무응답 2명)
◦ 분석방법 : SPSS 12K 통계분석 프로그램
2. 조사결과 및 시사점
① 한국방문 경험자는 40.2%이고, 2회 이상 방문자도 전체의 20.1%에 달함.
◦ 응답자의 92.1%가 한국식품 구매 경험이 있으며 방문경험이 없는 사람도 89.3%
가 구매경험 있음.
◦ 2회 이상 경험자 전부가 향후 한국식품 구매의향 표시.
⇒ 이는 한국에 대한 정보가 많을수록 한국식품 호감도가 높아지므로 식도락여행,
요리 체험행사 등이 마케팅 수단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됨.
② 인기 구매품목은 김치(92.7%), 고추장(49.7%), 냉면(41.7%), 라면(40.8%), 고춧가
루(26.5%), 소주(22.1%), 인삼(19.6%), 파프리카(15.4%), 송이(13.5%), 유자차
(12.1%), 방울토마토(8.2%) 삼계탕(4.6%) 순임.
◦ 성별 차이가 큰 품목으로 남성은 인삼 소주, 여성은 고추장 유자차 선호도가 높음.
◦ 구매 연령별 차이는 미미하나 인삼은 연령이 높을수록 구매도가 높고 관심도는 젊
은 세대가 높음.
- 구매도 : (20대)3.0%, 30대(10.3%), 40대(18.0%), 50대(29.1%), 60대(32.1%)
- 관심도 : (20대)47.0%, 30대(38.1%), 40대(29.7%), 50대(18.8%), 60대(23.8%)
⇒ 파프리카는 일본 파프리카 수입의 60% 이상을 한국이 차지함에도 인지도가
현저히 낮아 원산지보다는 공동 브랜드(휘모리)의 홍보가 바람직함.
③ 구매경험은 없으나 관심 있는 품목으로는 인삼, 삼계탕, 고추장, 유자차, 송이,
냉면, 소주 순으로 가공식품 선호도가 큼.
◦ 특히, 소주의 경우는 남성(12.2%)보다 여성(15.8%)이 여성 중에는 30대(29.4%)
와 주부(64.7%)가 가장 관심이 높음.
⇒ 인삼, 삼계탕, 고추장 등 한국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 신선 농산물과는
달리 원산지 보다는 건강, 미용, 스테미나를 강조한 홍보 전략이 필요.
④ 구매희망품목은 김치(39.7%), 냉면(22.5%), 고추장(21.4%), 라면(18.8%), 소주
(16.3%), 인삼(14.8%), 유자차(14.4%), 삼계탕(13.5%) 순으로 가공식품의 수요가
크나 신선농산물은 방울 토마토(4.2%), 파프리카(3.7%)로 인지도가 낮은 편임.
⇒ 인삼, 유자차, 삼계탕은 관심은 많으나 구매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 안전성 및 효
능에 대한 홍보강화가 필요.
⑤ 한국식품 접촉 경로는 슈퍼(35.4%), 한식당(24.3%), 한국여행(19.2%), 한국드라마·
잡지(18.2%) 순으로 20~30대는 슈퍼와 한식당, 40대는 한국여행, 50~60대는 한국
드라마, 잡지 등을 통해 접하는 비율이 높음.
⇒ 냉면, 고추장, 유자차 등 20~30대 인기구매품목은 대형유통업체나 한국음식점
과 연계해 홍보하고 인삼 등 50~60대 인기품목은 한국 드라마나 잡지, 광고 등
의 활용이 효과적임.
⑥ 한국농식품의 품질(89%), 신선도(72.6%)에는 긍정적인 편이나, 안전성에 응답자의
41%가 대해서는 불안하게 생각하고 있음.
◦ 품질과 신선도가 좋다는 사람도 안전성에 대해서는 불안해 함(31.9%).
⇒ 휘모리 브랜드를 활용하여 생산, 유통과정의 안전성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
필요.
⑦ 한국식품에 대한 연상 이미지는 건강(30.4%), 맛(20.2%), 스태미나(19.2%) 다이어
트· 미용(18.8%), 겨울연가(8.2%), 대장금(2.2%) 순으로 응답.
◦ 남성은 건강>맛>스태미나 순이나, 여성은 건강> 다이어트·미용> 맛 순임
⇒ 남성층에는 스태미나, 여성층에는 다이어트·미용 측면의 기능성을 적극 홍보
하고 <겨울연가> 배경지역인 춘천닭갈비 등 향토식품과 드라마를 연계한 홍보
필요.
⑧한국식품에 대해 알고 싶은 정보는 조리법(70%)이 압도적이며 안전성(13.9%),
기능성(11.5%)에도 관심이 높음.
⇒ 여성잡지에 다양한 조리법을 다루는 기사를 게재하거나 호텔, 백화점, 대형유통
매장과 연계한 요리 시연 및 한국 드라마에 한국식품 관련 장면 삽입 등의 홍보
방안 강구.
3. 향후 마케팅 추진전략
□ 한국전통식품에 대한 관심과 구매의향은 높으나, 신선농산물은 일본시장 점유율에
비해 관심도가 낮으므로 한국전통식품과 신선농산물을 이원화하여 차별화된 마케
팅 전략 추진
◦ 한국전통식품인 삼계탕, 유자차, 인삼 등은 건강과 미용을 캐치프레이즈로 해외
마케팅 홍보활동 강화
◦ 신선농산물은 한국산표시 보다는 안전성을 강조하여 휘모리 등 브랜드 중심으로
한 마케팅 홍보 중점 추진
□ 한국방문 경험이 구매경험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식문화 체험 관광 등
감성 마케팅 강화
◦ 겨울연가 등 한류열풍을 활용하여 한국식문화 홍보와 연계하고 특히 대장금 방영
시 한국전통식품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 필요
□대형유통업체는 현지 소비자와 접촉이 많고 신뢰도가 크므로 판촉홍보행사를 확대
하고, 한식당을 네트워크화 하여 한국식문화 홍보의 장으로 활용
◦ 삼계탕, 냉면 등을 한식당 메뉴로 입점토록 지원하고 판촉홍보 행사시 요리시연
및 다양한 조리법에 대한 홍보책자 배포
□ 한국식품의 건강, 미용, 스테미너를 강조한 홍보전략 중점추진
◦ TV, 신문, 잡지 등 언론매체를 통해 입소문 등을 유발한 프리즘 효과 유도
< 품목별 추진전략 >
◦ 김 치 : 인기구매품목(92.7%) 및 향후구매희망품목(39.7%)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
였으나 시장 확대의 여지는 아직 많은 것으로 판단되므로 다양하고 지속적
인 마케팅 집중 지원이 필요함.
◦ 고추장 : 김치 다음으로 선호도가 높고, 특히 여성층의 관심이 많은 품목이므로 향후
주타켓을 여성으로 설정하여 조리법, 다이어트·미용 정보와 연계한 홍보가
요구됨.
◦ 고춧가루 : 비교적 구매선호도가 높은 품목이고(26.5%) 특히 여성층 및 20~30대에
서 관심이 많으므로(여성 15.5% 20대 21.2% 30대 20.6%), 20~30대 젊은층
및 여성층을 대상으로 다이어트·미용 효과를 강조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함.
◦ 인 삼 : 전반적으로 구매선호도는 낮은 편이나(19.6%) 관심품목 부문에서 1위
(30.3%)를 차지한 품목으로, 여성층의 관심이 다소 앞섰고(남성29.3% 여성
31.0%) 젊은층 일수록 관심이 많아 이들 계층을 타켓으로 미국산이나중국
산 등 저가의 인삼과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펼친다면 수출유망품목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많은 품목임.
◦ 삼계탕 : 구매선호도는 낮았으나(4.6%) 인삼 다음으로 관심이 많은 품목으로(21.2%)
여성보다 남성의 향후 구매희망비율이 더 높아(남성 12.6% 여성 8.7%), 인
삼 홍보와 함께 건강 및 스태미나 측면에서삼계탕의 효능을 강조할 필요가
있음.
◦ 유자차 : 구매선호도(남성 3.2% 여성 18.3%)나 향후구매희망도(남성 8.6%, 여성
18.6%) 측면에서 남성층보다 여성층의 수치가 앞선 품목으로 여성층을 대상
으로 음용방법 등에 관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홍보가 요구됨. 유자차의 경우
일본지역에서 겨울상품(비타민C 풍부·감기예방·뜨거운 차)의 이미지가 강하
므로 여름에도 아이스 차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홍보하면 연중상품으로
수요창출에 효과적임.
◦ 냉 면 : 김치와 고추장에 이어 인기가 많은 냉면(구매선호도 41.7%, 관심도 14.3%,
향후 구매희망도 22.5%)의 경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할
경우 (면, 육수, 스프가 첨부된 인스턴트식 세트 제품) 새로운 인기품목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큼.
◦ 소 주 : 남성(12.2%)보다 여성(15.8%) 연령대별로는 30~40대 여성층에서 관심도가
높았음. 이는 소주가 칵테일 등 다양한 음용방법, 다른 주류보다 건강성이 어
필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들 계층을 타켓으로 마케팅을 집중할 필요가 있
음. 기존의 외식업체 뿐만 아니라 대형유통업체 유통망 확보에 노력한다면
수요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송이·파프리카·방울토마토 : 상품성에 대한 평가도 우수하고 일본시장점유율도 높으
나 일본소비자들의 원산지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이므로 원산지(한국)을
강조하기 보다는 공동브랜드 ‘Whimori’를 활용하여 안전성을 일본소비자들
에게 홍보·인지시켜야 함.
'한국식품에 대한 일본소비자들의 인식 조사결과'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