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10.23 2012

중국 산업동향(산업동향)

조회288

4. 산업동향

 

  ○ 2012년 중국 산업현황

 

   - 중국정부는 과거 양적인 확장 중심의 산업육성책에서 탈피해 질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으며 불황에도 불구하고 산업구조 업그레이드를 꾸준히 추진하고 있음.

 

   - 제조업의 경우, 부실기업을 업계에서 퇴출시키고 생산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불황을 계기로 산업구조의 불합리성을 여실히 드러낸 철강, 조선 산업의 경우 대대적인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임.

 

   - 중국은 또한 서비스업 및 문화 사업에 대한 육성을 통해 제조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탈피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서비스업은 정책적 지원과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따라 향후 꾸준히 빠른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12. 5 규획 (18 개 핵심 산업분야)

 

   - ‘12.5 규획기간에는 18개 핵심 산업에 대한 육성 및 구조조정이 강도 높게 추진될 예정임. 핵심 산업은 농업, 엔지니어링기계, 문화산업, 현대식 서비스업, 철강업, 정보산업, 자동 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고압전력망, 의약, 비철금속, 해양엔지니어링, 석탄, 석유 화학, 가전, 제지, 교통운수, 유통 등으로 이들 업종에는 에너지절감과 친환경 원칙이 공통으로 적용됨. 세부적으로 농업, 엔지니어링 기계, 문화, 해양과 같이 육성정책이 적용될 부분도 있고 석탄산업 등 신규진출 억제정책을 펴는 부분도 있으며 유통업처럼 중국기업의 약진세가 점쳐지는 부분도 있음.

 

  산업별 12.5 규획

 

산업

방향성 및 요지

농업

- 농업, 농촌경제 발전을 위한 4대 과제 제시

- 공급보장, 수확확대, 기초확충, 지속발전

- 도농 격차 축소 및 공업화·도시화 차원에서 추진

엔지니어링

기계

- 시장규모 4,000억 위안(2010 f)에서 8,500억 위안으로 확대

- 기중기(crane)시장 300억 위안(2009)에서 900억 위안

- 샤궁(夏宮), 롱장(龍江) 11개 대형기업 집중육성

문화산업

- 시장규모 8,000억 위안(2009)에서 1 5,000억 위안 확대

- 문화산업발전 방식을 내수 위주로 전환

현대식

서비스업

- 2015년 서비스업 부가가치액, GDP 50% 수준으로 제고

- 각 지방정부별 규획 사실상 마무리 단계

철강업

- 구조조정, 에너지절약, 오염물 배출 감소 추진

- 낙후시설 대대적 도태, 신기술 개발 강화

정보산업

- 산업구조 고도화, 내수확대, 3망 융합, 지능화 추진

- R &D센터 설립 장려, 해외기업 인수 확대

자동차

- 2015년 자동차 보유량을 2010년의 2배 규모로 확대

- 이산화탄소 배출량 30% 감축

하이브리드

자동차

- 기술개발, 기술표준 가속화, 산업사슬 형성 추진

- 산업화 개발, 신비즈니스 모델 연구 노력

고압전력망

- 5년간 2,700억 위안 투자(11.5 규획의 13배 이상)

- 2020년까지 지능형 전력망 구축 완료

- 계량기 3,000∼5,000만 개 교체수요 예상

의약

- 산업화, 규모화, 집약화, 국제화 등 4화 추진

- 바이오의약 집중 육성, 기술제품 혁신, 표준 강화

비철금속

- 알루미늄, 아연 등 10종 생산량 4100만 톤 내 통제

- 낙후시설 대거 도태

해양엔지니어링

- 5년간 3,000억 위안 투자

- 해양석유가스 개발 및 관련 서비스, 시추설비 확충

석탄

- 강력한 구조조정 추진 및 신규진입 엄격 제한

- 대표적인 고투자, 고오염산업으로 신에너지화 전환

석유화학

- 2,000만 톤급 정유생산기지 다수 확보 추진

- 100대 기업이 전체 산업의 2/3를 점유토록 대형화 추진

 

가전

- 전통 백색가전분야는 에너지 절감이 최대 화두

- 중국 로컬기업 경쟁력 강화방안 2011년 초 발표 예상

제지

- 낙후기업 대거 도태, 생존기업 대형화 육성

- 위안화 평가절상 시 대표적인 수입비용 인하 산업

교통운수

- 기초시설건설, 물류업, 에너지절감차량, 운수장비

- 전국적 지능형 교통망(ITS) 구축 추진

유통

- 국유 상업자본 시장지배력 강화 추진

- 브랜드, 지재권, 국제경쟁력 갖춘 대형업체 30개 육성

 

자료 :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공업신식부, 상무부 등

 

 

  ○ 12. 5 규획 (7대 신흥전략산업)

 

   - 중국 국무원은 에너지절약형 환경보호, 신 정보처리기술, 바이오, 첨단장비제조, 신에너지, 신소재, 신에너지 자동차 등 7 대 산업을 신흥전략산업으로 선정하고 적극 육성할 계획임. 구체적으로 세수 및 금융관련 정부지원을 늘려 민간자본의 신 성장분야 투자확대를 유도할 계획으로, 전문펀드 조성, 재정투입 확대, 대출확대 등을 통해 2015년까지 국내총생산(GDP) 8% 규모로 키운다는 전략임. 국무원은 외국자본의 신흥전략산업에 대한 투자유치에 적극적인데국무원의 외국자본유치 강화에 관한 약간의 의견에 따르면, 중국정부는외국인 투자 산업 지도목록을 수정해 개방범위를 확대해 외국자본의 신흥전략산업 투자를 장려할 계획임.

 

7대 신흥전략산업 주요 목표

 

산업

정책방향

신에너지

2020년까지 비화석 에너지원 소비율 15%로 확대(‘09 8%)

- 원자력,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집중 육성 → 10년간 5조 위안 투자

* 분야별 생산목표(2020) : 원자력발전(8 천만 Kw 이상), 수력발전(3 Kw 이상), 바이오매스(2.4 억 톤 표준석탄)

 

 

신에너지

자동차

ㅇ 플러그인 혼합동력 자동차와 순 전기자동차 중점 지원

- 정부구매 차량에만 지원하던 보조금을 개인용 자동차로 확대

* 에너지절약제품 惠民공정: 신에너지원 자동차 개인구매자에 대당 3 천 위안 보조급 지급(2020.6.18 시행)

- R&D, A/S 등 영역별 장려를 위해 재정, 세수, 융자 지원

바이오산업

ㅇ 바이오 산업을 첨단기술 영역의 주력산업으로 육성

- 중점분야 : 생물의약, 생물농업, 생물제조, 생물 환경보호

- 2020년까지 부가가치 2조 위안, GDP 내 비중 4% 달성

* 2010 : 부가가치 5 천억 위안, GDP 비중 2%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ㅇ 에너지절약 : 2020년까지 GDP 대비 에너지 소비 20% 감소

- 에너지 절약 기술 보급, 에너지 소비표준 강화 추진

ㅇ 총량통제, 질적개선, 환경리스크 예방 등 환경보호 정책 강화

- 2015년까지 환경 및 그린에너지 산업 GDP 비중 7%로 확대

* 투자액 : 1 5,400 억 위안 → 3 1 천억 위안

정보기술

ㅇ 삼망융합첨단 소프트웨어신형평판디스플레이 등 집중 육성

- 삼망융합 : 2015년까지 기본적인 삼망통합 시스템 구축 완료

- 첨단 소프트웨어 : 2015년까지 매해 40억 위안 투자해 대형 핵심

소프트웨어 기업 중점 지원

- 신형평판디스플레이 : 5~8개 기업을 핵심 주력기업으로 육성

첨단제조업

ㅇ 제조업 大國에서 제조업 强國으로 전환

- 대형항공기 프로젝트에 융자, 수출보조금, 항공운행 보조금 지원

- 위성산업, 유인우주선, 달 탐사 사업 등 우주항공산업 육성

- 해양공정장비 국산화율 제고 및 시장점유율 확대 도모

신소재

ㅇ 강철, 비철금속, 석유화학, 등 기초 원재료 산업 경쟁력 강화

- 고성능 복합소재, 희토류 등 전략성 소재산업 육성을 통해  

  1천억 위안 규모소재산업 사슬 구축

 

 

 

 

 


 

중국의 3대 산업 분류

 

산업분류

내용

1차 산업

농업, 임업, 어업,

2차 산업

공업, 건축업

(공업 : 제조업, 채굴업, 전력,공급산업 등)

3차 산업(서비스산업)

1, 2산업 이외의 기타 산업

 

 

 

 산업 구조 현황

 

  1978 ~ 2008년 중국 농업 생산액과 공업 생산액은 GDP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평균적인 농업 생산 비중은 약 21.7%, 공업 생산액 약 45.6%, 서비스산업 생산액 약 32.7%

 

  ·공업 생산액 구조에 큰 변동이 있었으나 이에 반해 서비스산업의 변동은 작은 편임

 

  전체적인 산업구조에서 제1, 2차 산업 비중이 높고, 3차 산업 비중이 낮은 편임. 또한 내부 구조가 불합리하고 효과와 이익이 낮음. 그러나 점차 제1차 산업의 비중이 하락하고 있음

 

 농림수산업의 개황

 

  개혁 개방 정책의 추진으로 1980년대 이후 급속도의 경제 성장을 이룬 한편 인플레이션과 도시·농촌의 소득차 등의 모순이 생김

 

  세계 최고의 쌀, , 옥수수 생산국이지만 대부분의 생산 제품을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수출 여력이 높지 않음. 간장은 최근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수입이 크게 증가했으며, 7%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개혁 개방 후 식량 생산의 증산 정책을 계속해서 시행해 왔지만, 1996년 이후에는 풍작과 흉작의 반복으로 불안정했음. 그러나 본격적인 농업 정책의 강화를 시작한 2004년 이후 비교적 안정적으로 증산하기 시작해 2009년까지 6년 동안 연속적으로 증산을 유지하고 있음

 

  임업은 1990년대 들어 낮은 숲의 비율(1998 : 13.92%)을 향상시키기 위해 1999 "전국 생태 환경 건설 계획"을 책정해 2010년에 19%, 2030년에 24%, 2050년에는 26% 이상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산림 정비 육성을 추진 중임

 

  중국의 수산업은 1980년 이후 내수면과 해수면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되어 1989년 세계 제일의 수산물 생산국이 되었음. 그 후에도 순조롭게 생산을 늘리고 있으며, 2008년 생산량은 4,896만 톤으로 이 중 47%가에서 내수면 어업임

 

  ○ 2010 10, 야채 평균 가격이 지난달에 비해 10% 상승했으며, 식용유 가격 상승 또한 비교적 뚜렷함. 돼지고기 가격은 안정적으로 약간 상승했으며, 계란 가격은 연속해서 4개월 동안 상승 후 다소 하락함. 돼지고기와 닭고기 가격은 작은 폭으로 상승 중임

 

  ○ 2011년 중국 여름 수확량은 1 2,627만 톤으로 전년도 동기대비 312만 톤, 2.5% 증가함. 가을 수확량 역시 크게 할 것으로 전망. 연간 식량생산량이 8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육류 생산량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3분기 돼지, , , 닭고기 생산량은 5,453만 톤으로, 전년도 동기대비 0.2% 성장함. 그 중 돼지고기 생산량은 3,565만 톤으로 0.6% 하락함

 

 

< 농업·임업·목축업·어업 총 생산액(2011 1 ~ 3분기) >

단위 : 억 위안, %

구분 

1 3분기

성장률

농업·임업·목축업·어업 총생산액

52132.09

3.8

농업

27109.80

2.6

임업

1833.47

5.4

목축업

17117.11

4.5

어업

4261.40

4.4

 

출처 : 중화인민공화국통계국

 

< 2009년 농지 현황 >

구분

면적(1,000ha)

비중(%)

국토 전체

960,000

100.0

농업 용지

524,321

54.6

 

124,320

12.9

 

출처 : FAO

 

< 2010년 농업 인구 >

단위 : 천명

구분

2000

2005

2008

2009

2010

총 인구

1298268

1337613

1358790

1365580

1372148

경제활동인구

757621

792410

812144

818009  

823260

농업경제활동인구

504849

505637

503928  

502691  

500977

 

출처 : FAO

 

  농업

 

   - 개혁 개방 이래로 중국 농업과 농촌 경제는 장족의 발전을 이룸. 농업 산업 구조는 끊임없는 조정을 겪어 비교적 좋은 구조를 형성하게 됨. 그러나 현재 농업 산업 구조는 여전히 많은 문제들이 존재함

 

    농업 인프라 수준이 여전히 취약함. 급수, 전력공급, 교통, 통신 등 인프라가 여전히 불완전해 일부 지역에서 종종 문제가 발생함. 예를 들어 화베이, 시베이 등의 지역에는 물 부족 문제가 심해 농업 생산과 주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줌

 

    농산물의 품종과 품질 구조가 여전히 최적의 상태가 아니기에 농산물의 품질 수준이 낮은 편임. 중국에서 소, , 돼지 등의 육류 제품과 사과, 배 등 과일, 화초제품, 수산물 등은 국제 시장에서 뚜렷한 가격 우세를 보이지만 품종과 품질에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음

 

    농산물 가공업은 여전히 초급단계임. 신선도 유지, 포장, 저장 및 운송, 판매 시스템의 발전이 낙후되어 가공이 되지 않은 1차 제품과 가공 제품의 비율이 맞지 않음. 선진국의 농산물 가공 생산액과 농업생산액의 비례는 대부분이 2 : 1 이상인 반면 중국은 0.43 : 1로 외국과 차이가 큰 편임

 

    농산물 지역의 분포가 비합리적임. 각 지역이 갖고 있는 강점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특색 있는 농산물 지역 분포 구조를 형성하지 못함

 

   - 그러나 최근 생활방식의 도시화로 향후 식품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농업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하려는 중국 대기업들이 증가하고 있음. 세계 2 PC 업체 레노버는 과일, 육류, 잡곡 등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전 부문을 관할할 수 있도록 농업 사업을 적극 육성할 방침임. 세계 태양광 5 대 기업 중 하나인 잉리솔라는 돼지사육, 채소재배업에 뛰어든데 이어 최근 올리브유를 출시하며 농업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 거대 부동산 기업인 완다그룹은 베이징시 옌칭현(延慶縣) 380만㎡ 규모의 유기농산업원을 구축함.

 

   - 중국 대기업들은 든든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소규모 개인농 중심의 농업을 대규모 기업농이 중심이 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변화시키고자 함. 이로써 농산물 생산원가 절감, 농산물 생산량 관리, 농산물 유통절차 간소화가 가능해 질 전망이나 대규모 경작지 확보 애로, 만만치 않은 초기 투자금, 자연재해 리스크 등 극복해야 할 난제도 많은 상황임

 

< 유망농업분야 >

유망분야

내용

대량생산

시설농업

- 시설농업은 토지, 일광, 수자원 등 자연조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어 리스크 관리가 비교적 용이함.

- 또한 대량생산체제를 도입해 농토의공장화를 실현한다면

  생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음.

농산물가공업

- 가공은 농업 가치사슬에서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부분으로,

  이윤율이 20%를 상회하며, 심가공의 경우 이윤율이 더욱 높아짐.

- 또한 생산단계와 비교할 때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고,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할 수 있음.

- 창춘다청그룹(長春大成集團)은 옥수수 심가공 분야 대표기업으로

  2011 년 아미노산 및 다가알코올 생산효율 향상 실적을

  인정받아 미국 ‘Fast Company' 매거진으로부터세계 50

  혁신기업으로 선정됨.

관광농업

- 관광농업은 전통농업과 관광업을 결합한 것으로 농업, 레저,

  여행 등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도록 농지를 개발하는 신개념 산업임.

-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도시 근교 농업지대를 관광자원으로

  개발하는 것이며, 최근 들어 도시주택 옥상에 야채 등을

  재배할 수 있는옥상정원조성이 새롭게 시도됨.

 

 

< 새로운 농업 비즈니스 모델 >

모델

내용

주식제 도입

- 농민이 토지 및 기타 고정자산을 활용해 기업 지분을

  확보하고 토지에서 발생하는 자본수익을 공유하는 방식

- 기존의 기업-농민 협력은 단순한 매매에 머물렀기 때문에

  농산물 품질관리 및 농민권익보호가 어려웠으나주식제

  방식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것임.

- 내몽고의내연사(□聯社)’ 모델이 이에 해당하며, 농가는

  우유로 지분을 확보해 우유에서 파생되는 수익을 기업과    

  공유하고, 기업은 우유 생산유통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우유품질 및 수익향상을 도모하고 있음.

농산물 직판

- 농산물 유통단계를 줄여 농민과 소비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모델임.

- 공동체 지원농업(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농산물 직판의 전형적인 모델로 소비자들이 주거지역 근교에

  있는 유기농 농장에 매년 일정액을 내고 계절마다 생산되는

  싱싱한 농산물들을 구매하는 것임.

- 중국에서는 베이징 Little Donkey Farm 에서 이 모델을

  도입해 시행중이나, 원가가 비교적 높아 아직 보편화되기는

  어려운 실정

가치사슬

전 과정 참여

- 재배, 가공, 저장, 운송, 판매 등 전 과정을 한 기업에서

  관리·감독하는 모델로 식품안전이 보장되는 모델임.

- 풍부한 자금력 및 우수한 관리능력이 필요한 모델로, 중국의

  거대 식품기업 COFCO, New Hope Group 등이 이 모델을

  채택하고 최근 농업에 진출한 Lenovo 가 지향하는 방식이기도 함.

 

 

< 농업 비즈니스 리스크 분석>

 

리스크

내용

높은

초기투자비용

 

- 중국 농업은 기초시설이 부족하고 집약도가 낮은 상황으로,

  사업 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까지 상당한 투자비가

  소요될 것임.

- 자연환경에 따라 수익편차가 크고 투자회수기간이 긴 것도

  진출을 어렵게 하는 요소임.

 

불분명한

토지거래정착

- 농업의 규모화 실현을 위해서는 토지거래가 불가피한데,

  현재 중국에는 토지거래 관련 정책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토지용도 변경이 용이하지 않은 실정임.

- 토지거래 관련 전문기구 부재 및 임대료 산정 시스템 미비

  등 기초 인프라도 아직 갖춰지지 않은 실정

이익분배

불균형

- 중국 농업에서 기업과 농업인과의 관계는 단순매매에 국한돼

 있으며 정보부족, 협상력 부족으로 인해 농민의 권익이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는 상황

- 향후 기업들이 농업에 진출하면서 농민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고 기업의 이익만을 추구할 경우 농민권익 향상을 추구하는

  정부정책과 충돌하면서 사회문제가 될 수 있음.

 

 

 

  목축업

 

   - 개혁개방 이래로 중국 목축업은 빠른 발전을 이루어 주요 축산물의 장기적인 부족 문제를 바로잡고 도시 주민의 축산물에 대한 다양한 수요를 만족시켜 생활수준을 높임. 축산업 생산액은 농업, 임업, 목축업, 어업의 총 생산액 중 차지하는 비중이 1978년의 15%에서 30%정도 까지 향상되었으며, 중국 목축업은 농촌 경제 중의 지주 산업이 되었음

 

   - 현재 중국 목축업의 생산 시스템(혹은 생산 방식)에는 방목 생산 시스템(Grazing Systems), 농업·목축업 결합 생산 시스템(Mixed Farming SystemsCrop-Livestock Systems), 공장화 생산 시스템(Industrial Production Systems)이 있음

 

    방목 생산 시스템 : 서북부 지역의 네이멍구, 간쑤, 신쟝, 칭하이, 시짱 5대 목축 지역에서 사용하는 방식임. 주요 가축은 초식동물로, 그 중 면양, 산양의 사육양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소, , 낙타 등이 있음. 이 생산 방식은 비교적 원시적인 목축업 생산 시스템으로, 축산품의 생산량은 자연 재해 등의 영향을 받음. 주요 축산물로 양고기, 우유 등이 있음. 이 생산 방식은 중국 축산물 생산에서 중요성이 끊임없이 약화되고 있음

 

    농업·목축업 결합 생산 시스템 : 방식은 현재 중국 농업 지역의 소농가에서 여전히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생산 방식으로, 많은 조건이 존재함. 첫째, 농업 지역의 기후 조건이 좋아 가축이 자연 재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아야함. 둘째, 농업 지역의 종식업은 목축업 발전을 위해 충분한 사료 자원을 제공해야하며, 목축업은 종식업의 발전을 위해 퇴비와 동력 자원을 제공해야 함

 

    공업화 생산 시스템 : 이 생산 방식은 대·중도시 지역과 연해 발달지역에 주로 분포되어있어, 가축의 사료는 외부로부터 구입함. ·중도시의 축산물에 대한 수요량이 크고 우수한 기술 및 자금의 우세를 가지고 있어 공장화 생산 시스템은 비교적 빠른 발전을 이룸. 공장화 생산 규모는 크며 기술력이 풍부해 품종, 사료, 번식, 제품 가공 등 현대 과학 기술의 성과를 충분히 응용할 수 있음. 현재 돼지, 닭의 공장화 생산 수준은 기본적으로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했음

 

   - 방목 생산 시스템은 약해지고 있으며, 농업과 목축업 결합 생산 시스템은 여전히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또한 공장화 생산 시스템의 현재 차지 비중이 크지 않지만 발전 단계에 있음

 

   - 중국은 전국 1/4 이상의 초원이 내몽고에 위치해 있어, 내몽고가 국가의 중점 목축업 생산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내몽고는 중국 목축업의 최대 중심지로서 자치구 내 농업에서 목축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45.9%에 이른다. 우유, 양고기, 캐시미어 천, 양모의 생산량은 중국 내 1위로, 연간 사육 가축수가 1억 마리에 달하며, 육류 240만 톤, 융모 10만 톤, 우유 900만 톤, 달걀류 50만 톤이 생산됨.

 

   - 내몽고 정부는 현지 지역별 목축업의 우위를 활용하여 집중화 현대화 발전을 추진 중으로, 유제품 중점 생산지역(후허하오터, 바오터우), 우돈육, 가금류 중점 생산지역(퉁랴오, 츠펑), 양육, 양모 중점 생산지역(후룬베이얼, 싱안)을 선정해 중점 육성중임.

 

  임업

 

   - 2009 11월 말까지 중국의 규모 이상의 농업 기업 생산 상황이 달마다 호전되어 임업 산업 발전이 기본적으로 안정 상태를 유지함

 

   - 2009년 임업 산업의 총 생산액은 1 5,800만 위안으로, 2008년 보다 9.81%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5.13% 하락함. 임업 산업의 전체적인 형세는 안정된 추세에서 점차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줌

 

   - 목재 제품의 공급과 수요의 총량이 하락했으며, 임산물 가격 수준이 전체적으로 상승함. 임산물 수출입 무역이 증가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증가 폭은 다시 떨어지고 있으며, 무역 적자가 확대됨

 

 개혁 개방 이래로 중국의 산업 구조는 비교적 큰 변화를 겪음

 

  1차 산업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추세임. 개혁 개방 초기 제1산업의 전국 GDP 비중이 약 30%를 차지했던데 반해 2008 11.3%까지 떨어져 하락폭이 매우 뚜렷함

 

  2차 산업의 GDP 점유 비중이 낮아진 후 다시 상승하는 추세지만 전체적으로는 큰 폭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음. GDP 구조 중 제2산업의 비중이 1980 48.22%에서 1990 41.34%까지 떨어졌으며, 2007년 다시 50.27%까지 상승함

 

  3차 산업의 GDP 차지 비중이 전체적으로 상승한 추세를 보임 개혁 개방 이후 20세기 80년대 초까지 제3차 산업의 GDP 구조의 비중이 줄곧 변화하지 않았음. 그러나 1983년 이후, 3차 산업의 비중이 빠르게 상승해 1985년 제1산업을 넘었음. 2002년에 제3산업과 제2산업의 차이는 가장 적어 단지 3.07%의 차가 났었음 그러나 2002년부터 제3산업의 GDP 비중이 다시 낮아지고 있음

 

 중국 산업별 고용 구성

 

  1차 산업의 취업 비중이 낮아졌으며, 2차 산업의 취업 비중은 미세한 폭으로 증가해 증가 속도가 느린 편임. 3차 산업의 취업 비중 증가 속도는 제2차 산업의 증가 속도보다 빠름

 

  ○ 1900 ~ 2002, ··목축업 종사자는 평균적으로 53.8%를 차지하며, 채굴업은 약 1.3%, 제조업은 약 14.3%, 건축업 약 5.1%, 교통운송·창고저장 약 3%, ·소매 무역 및 요식업 약 6.6% 금융보험업 약 0.5%, 사회서비스업 약 1.2%, 교육·문화예술·방송 약 2.4%, 과학 연구 및 종합 기술 서비스 약 0.3% 등을 차지함

 

  농업관련 종사자 수가 사회 전체 종사자 중에서 여전히 절대적인 다수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서비스 산업 종사자의 확연한 증가는 보이지 않음

 

 

 농식품 산업별 동향

 

< 농산물 수급 현황 >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전망치)

 

단위 : 100만 톤(M/T)

생산량

420.260

422.620

436.810

458.990

469.230

공급량 (재고+생산량)

546.120

572.000

595.340

630.390

649.180

소비량

406.590

421.600

440.560

464.130

483.550

수출량

1.750

1.740

1.660

1.550

1.800

재고량

137.800

148.620

153.100

164.670

163.840

 

* AMIS statistics 2012 (http://statistics.amis-outlook.org)

 

'중국 산업동향(산업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중국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