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산업동향(산업동향)
조회445 ㅁ 산업의 구조적 특징
○ 산업별 GDP 비중
- 2009/2010 회계연도 기준 서비스업의 비중이 49.9%, 제조업 및 농업의 비중이 각각 36.6%, 13.5%를 기록하고 있음
- 농업은 GDP 비중은 낮으나 가장 많은 인력을 고용
< GDP 내 산업별 비중 >
(단위 : %)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농업 |
13.4 |
13.1 |
13.5 |
14 |
14.4 |
제조업 |
37.6 |
37.1 |
36.6 |
37.5 |
39.5 |
서비스업 |
49 |
49.8 |
49.9 |
48.3 |
45.8 |
출처 : ISTAT
*자료기입일: 1월 15일
<이집트의 산업별 고용인력 비중>
(단위 : %)
분야 |
비중 |
분야 |
비중 |
농림수산업 |
32.9 |
건설 |
7.7 |
제조업 |
11.3 |
통신, 교통, 창고 |
7.1 |
국방. 행정 |
8.0 |
부동산 |
2 |
도소매 |
11.2 |
기타 |
4.7 |
교육, 의료 |
13 |
|
|
출처 : 이집트 통계청
*자료기입일: 1월 15일
○ 산업별 동향
- 이집트의 제조업은 전체 GDP의 3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고용 인력의 15.7%를 차지
- 민간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이 81.3%, 공기업이 18.7%(2010)으로 2006년을 기점으로 많은 공기업이 민영화되었음
- 이집트는 중동 아프리카 지역 중에서 가장 견실한 제조업 기반을 가진 국가로 평가되고 있음
- 이집트는 걸프 지역 아랍권의 오일 머니를 유치하기 위해 1974년 투자법을 제정한 것을 계기로 국내 제조업 부문을 크게 성장시켰으며, 국민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제품은 자국 내에서 생산하고 있고 일부 국제경쟁력을 보유 인근 국가들에 수출까지 하고 있음
- 이집트가 경쟁력을 갖고 있는 공업 분야는 식품가공, 섬유의류, 자동차조립, 철강, 전자조립, 제약, 석유화학, 시멘트, 건축자재, 플라스틱, 가구 공업 등으로 석유 화학이나 시멘트산업의 경우는 국제수준에 이르는 기술력과 생산수준을 보이고 있음
- 최근에는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해 IT, 전기전자, 정밀화학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하고 있음
- 다만 이집트의 전반적인 제조업 수준은 아직은 열악한 수준으로 낮은 노동생산성과 비능률인 기업 경영 및 기술 품질 열세로 단순한 조립이나 가공수준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음
ㅁ 농식품 산업 동향
< 농산물 수급 현황 >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전망치) |
|
단위 : 100만 톤(M/T) | ||||
생산량 |
20.350 |
20.420 |
17.860 |
19.210 |
20.060 |
공급량 (재고+생산량) |
41.200 |
43.650 |
41.990 |
45.560 |
44.910 |
소비량 |
33.630 |
0.780 |
34.590 |
35.070 |
36.150 |
수출량 |
0.680 |
0.020 |
0.540 |
0.860 |
1.070 |
재고량 |
6.840 |
7.630 |
6.960 |
9.620 |
7.680 |
* AMIS statistics 2012 (http://statistics.amis-outlook.org)
*자료기입일: 1월 15일
○ 이집트의 주요 산업의 하나로 GDP의 14%를 차지하고, 전체인구의 29%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농업은 타 개발 도상국과 마찬가지로 이집트에 중요한 산업이지만 산업화의 영향으로 전체 산업에서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 및 농업 종사자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 이집트 시장은 8,700만에 달하는 인구와 더불어 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지역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여겨짐
○ 1996년 10월 착수한 TOSHKA 사업(남부 사막지역 농토화 추진(총 사업 비용 865억 달러)이 향후 15년 내에 완성되면 농경 면적은 2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이집트는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식량 자급자족 및 순 수출국이었으나 인구 증가로 인해 1980년 대 초반 연간 30억 달러 정도를 수입해 오다가 1990년대 들어 연평균 40억 달러 규모를 수입하여 국내 수요에 충당하고 있음. 이러한 수입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정부는 농경지 확대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 중
○ 이집트의 총 경지면적은 3만 5,000 km2, 740만 페단에 이르고 있으며 주된 농산물은 밀, 쌀, 원면, 콩 및 옥수수 등이 있음. 1990년대 중반에 주요 농작물에 대한 정부통제가 대폭 완화됐으며 현재는 규제가 거의 없음
○ 원면
- 원면은 최고급 품질을 자랑하며 이집트 농업 수출 1위 품목으로 2010년 연간 생산량이 19만 톤에 이르고 있으며 독일, 스위스, 이탈리아, 그리스 등 유럽시장이 주 대상이었으나 최근 들어 한국, 인도,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권 공급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
- 이집트 원면 GiZA 45,76,70,77,84는 세계 최고 품질의 EXTRA LONG STAPLE COTTON으로 매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큰데 이는 동 원면을 저가 원면과 섞어서 사용하면 품질을 유지하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 동 제품은 판매시기 품질 등급, 세계 원면시장의 수급현황에 따라 수출가격 변동폭이 심함
○ 밀
- 이집트는 빵을 주식으로 하는 사회이기 때문에 쌀보다는 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2011년 이집트 전체 밀 소비량은 1,700만 톤이었고, 그중 780만 톤을 수입. 주 도입국은 미국을 비롯한 프랑스 호주 등지이며 최근에는 미국과의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미국에서 도입하는 비중이 늘고 있음. 러시아와 흑해 지역의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 역시 수입량이 컸으나, 최근 중앙아시아 지역이 가뭄으로 인해 밀 생산량이 줄었고, 2011년 11월 이집트 정부는 확인되지 않은 품종이라는 이유로 흑해 지역의 밀 수입선을 거부함에 따라 향후 호주와 유럽지역으로 밀 수입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 또한 밀 도입에 따른 외환부담을 덜기 위해 물물교환 방식으로 수입을 추진하고 있는데 러시아, 시리아, 터키, 호주, 파키스탄 등이 주 대상국. 이집트 정부는 밀 증산을 위해사막의 농지화 정책을 통해 밀 재배면적의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나 연중고온이 지속되는 기후 특성상 자급자족을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
- 하지만 생산량 증대를 위한 농부들과 정부의 노력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2015/16년까지 이집트 밀 생산량은 2012년보다 19.8% 증가한 94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
○ 기타 작물
- 생산 작물 가운데 밀 다음으로 옥수수, 쌀, 보리가 수확되고 있는데 옥수수는 연간 생산량이 740만톤 규모로 주요 식량작물 가운데 가장 많은 수확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인근 국으로 수출되고 있음. 경지면적은 약 230만 페단이며 1페단 당 생산성은 2.8톤 수준. 쌀은 연간 600만톤 정도가 생산. 경지 면적은 약 130만 페단 정도이며 1페단 당 생산성은 약 3.8톤
- 2012년 이집트의 옥수수 생산량은 이집트 농민들이 옥수수보다 생산성이 높은 작물을 재배하게 되면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이집트의 옥수수 농업은 가축 산업과 상당히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옥수수를 저렴한 사료로 적합하게 여겨 이집트 생산 옥수수의 80%가 가축의 사료로 쓰고 있기 때문
- 최근에는 WTO 농산물 개방협상에 쌀 수출국으로 적극 참가하고, 일본과 한국시장의 진출을 시도하고 있음. 보리는 주요 식량작물은 아니나 전국적으로 7만 페단 정도의 면적에서 매년 약 9만톤 가량의 보리가 수확되고 있음. 1페단 당 단위생산성은 1.2톤 정도로 낮은 편
- 이밖에 콩과 땅콩, 양파, 마늘, 사탕무 등이 이집트의 주요곡물이나 생산성이 낮고 연간 수확량의 편차가 심해 안정적인 식량 확보를 위한 다양한 농업개발정책이 추진되고 있음
○ 수산업 개황
- 이집트는 이슬람교적인 생활양식이 식생활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어 수산업은 농업이나 목축업에 비해 중요성이나 발전 정도가 부진한 편
- 이집트는 지중해, 홍해와 인접하고 있으며 나일강과 세계 최대의 인공 호수인 나세르호가 영토 내에 위치해 있어 수산업이 발달할 수 있는 여건은 비교적 양호한 편
- 1991 ~ 2005년 사이의 연간 이집트의 수산물 생산량을 살펴보면 약 60%가 민물호수나 강에서 생산되는 담수 어종이었으며 24%가 지중해나 홍해의 연근해 산출량이었고 나머지 16%가 어장이나 양식장 산출물. 이집트는 2005년도에 총 95만톤의 어획고를 올려 지중해 연안국 중에서는 가장 많은 어획고를 올렸으며 세계 12번째를 기록했음
○ 연안 수산업
- 지중해와 홍해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소규모의 어획과 고급어종의 양식이 주류를 이루며 주요 어획되는 종류는 정어리(20%), 숭어(9%), 새우(11%), 게(8%) 등이며 육질이 연하고 영양가가 풍부해 주로 유럽 국가들과 아랍권으로 수출되고 있음(연간 수출량 3억 달러)
- 특히 지중해로부터 산출되는 어획고는 연간 5만 ~ 7만톤 사이이지만 대부분이 유럽시장으로 수출되며 홍해는 5 ~ 7만5,000톤 사이로 내수용이 주류를 이룸
○ 담수어업
- 세계 최대의 인공호수인 나세르 호에서 연간 6만톤 등 콰란호, 파이윰 호 등에서 매년 21만톤의 담수어종을 생산하고 있으나 매년 수위감소와 오염의 심화로 산출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음
○ 양식업
- 매년 생산량이 6만 5,000톤 정도로 이집트 전체 수산물 생산량의 14% 정도를 점하고 있고 주요 양식어종은 숭어, 새우, 잉어 등으로 고급어종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이집트 수산업은 열악한 유통망과 냉동처리 시설의 부재로 국제적인 위생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 유럽으로의 수출이 상당한 차질을 빚고 있는 등 더운 날씨에 대비한 운송 보관 장비가 턱없이 부족하고 뒤떨어진 수준
- 연안이나 담수어업 공히 수질오염으로 인한 위생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현대화된 위생처리 시설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
- 전체어선의 6.6%만이 30 ~ 800 마력 정도의 엔진만을 탑재하고 있을 뿐 나머지 3만 4,000여 대의 어선은 바람이나 인력으로 추진되는 원시 목선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생산성이나 수익성 면에서도 매우 뒤처져 있어 이들 분야에 대한 본격적인 투자와 현대화 작업이 필요한 실정
○ 대형식품소매 산업
- 이집트의 MGR 산업은 전통적으로 유제품 및 소프트 드링크와 같이 음식, 음료분야에 있어서 많은 관심을 못한 분야였으나 지난 몇 년 간 유럽 및 외국계 기업들이 이집트 시장에 관심을 보여 MGR 산업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음
- 약 8,300만의 인구를 보유한 이집트는 중동 아프리카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며 높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시장. 이집트의 가공식품 소매 시장은 중동에서 이미 가장 큰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 2013년에 이집트의 1 인당 국민소득이 현재보다 약 150% 증가한 5,000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며, 8,400만 명인 인구도 9,0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인구 및 구매력 증가, 소매산업 구조의 현대화 등으로 대형 식품 소매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됨
- 만수르기업이 소유한 Metro 는 이집트에서 가장 큰 대형마켓으로 현재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기자, 만수라, 이스말리아 지역에 31개가 넘는 점포를 현재 운영 중. 2012 년 12 개의 추가 점포를 더 개설할 계획. 대다수의 점포가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24 시간 운영하며 다양한 전략을 통해 이집트에서 높은 인지도를 쌓아가고 있음
- 또 다른 이집트 기업인 Awlad Ragab 도 5 개의 점포를 운영 중. Carrefour, Spinneys 등 외국계 회사역시 속속 이집트에 진출하고 있음. Carrefour MAF 는 이집트 하이퍼마켓을 주도 하는 기업으로 매장 확대를 계획 중. 또한 UAE 기반의 Majid Al-Futtaim(MAF)와 협력을 맺어 이집트 소비자들에게 더욱 가까히 다가가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음. 대형 식품 소매업의 발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집트 현지 정착에 실패한 유명 유통업체도 상당수 존재. 영국계인 Sainsbury's, 남아공의 Shoprite 등이 대표적인 사례임
- Carrefour 등 외국계 자본의 진출 및 Metro 등 현지기업의 점포 수 확대에 따라 소형 소매상의 비율은 2007 년 70%에서 2017 년 63%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 Carrefour 등 하이퍼마켓에서 구매 가능한 계층은 전체 인구의 약 18% 정도로 추산되며, 창고형 및 배달 없는 현금판매주의의 아울렛도 곧 이집트에 진출할 것으로 전망
'이집트 산업동향(산업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