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산업동향(산업동향)
조회243 ㅁ 산업의 구조적 특징
○ 태국은 제조업이 전체 GDP의 약 44%를 차지하고 있으나, 노동력은 농업 분야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또한 몇 년 동안의 관광 산업의 발달로, 기타 서비스 분야의 GDP 및 노동력 비율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음
< 태국의 산업별 GDP 및 노동력 비율 >
분야 |
GDP 비율(%) |
노동력 비율(%) |
농업 |
12.4 |
42.4 |
제조업 |
44.7 |
19.7 |
기타 서비스 |
43 |
37.9 |
주 : 기타 서비스는 교육, 금융, 호텔, 레스토랑 등임
출처 : 태국 산업부
ㅁ 농식품 산업 동향
< 농산물 수급 현황 >
|
2008/09 |
2009/10 |
2010/11 |
2011/12 |
2012/13 (전망치) |
|
단위 : 100만 톤(M/T) | ||||
생산량 |
24.400 |
24.410 |
24.510 |
24.810 |
25.050 |
공급량 (재고+생산량) |
29.980 |
33.050 |
34.430 |
35.470 |
38.760 |
소비량 |
14.360 |
15.380 |
16.240 |
17.260 |
17.490 |
수출량 |
9.510 |
10.170 |
11.160 |
6.940 |
8.370 |
재고량 |
6.240 |
7.200 |
7.080 |
11.210 |
12.890 |
* AMIS statistics 2012 (http://statistics.amis-outlook.org)
○ 농식품 동향
-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인 태국은 높은 국제 쌀 수요와 각국의 공급 감소로 금년 쌀 수출이 기록적인 1,400만 톤까지 이를 것으로 업계 전문가는 전망
- 2011년 1~5월 중 태국이 수출한 쌀은 이미 5만 톤을 초과하였으며, 이는 전년대비 42.7%나 증가한 수치
- 주요 쌀을 수출 국가는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국가들과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아프리카 국가
- 태국은 세계 주요 농산물 수출국으로서 식품가공 산업도 발달돼 있음
- 태국에서 농업분야는 전체 GDP의 10%, 태국 전체 노동력의 50%나 차지
- 주요 식품류 수출품은 쌀, 수산물, 설탕, 육규, 채소, 과일 등
- 태국은 세계 최대 쌀, 냉동 새우 수출국이며 닭고기의 주요 수출국
- 태국은 또한 여러 농산물제품의 주요 수입국. 태국이 수입하는 제품은 각종 식품, 음료제품, 그리고 식품첨가제가 있음
- 태국의 식품가공산업은 지난 10년간 매우 빠르게 발전했으며 동남아 지역에서 가장 선진화된 국가 중 하나임. 근년에 이르러서는 멜라민 파동 등 중국식품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로 태국 제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게 됐음
- 태국의 식품 수출업체들은 그동안 새로운 기계를 구매해 다양한 제품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수입국에서 요구하는 안전기준을 충족시켜왔음. 태국의 식품의약청(FDA)은 제품 등록, 제조인가, 식품 라벨 부착, 마케팅 통제 등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을 기하고 있음
- 2011년 일어난 대홍수의 영향으로 곡창지대인 중부를 중심으로 농업 피해가 확산되고 있음
-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쌀 수확이 연간생산량의 10% 전후에 해당하는 약 400만 톤(t) 감소할 것으로 추계.
- 태국 정부 조사에 따르면 피해를 본 농지는 약 180만 헥타르에 이르렀고 많은 농가가 수입 감소에 직면하고, 국제가격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
- 2012년 1분기 농업분야는 2011년 하반기 발생한 대홍수에도 불구하고 2.8%가 성장. 농업생산이 이처럼 증가한 데는 팜오일, 카사바, 고무 생산이 각각 55.2%, 6.1%, 4.3% 증가하였기 때문. 이들 농산품은 경작면적 확대 및 경작지 당 카바사 생산비율의 증가로 이처럼 생산을 늘릴 수 있었음. 반면 쌀 생산은 전년 동기대비 26.4%가 감소
- 농산물 가격은 카사바, 고무, 팜오일이 각각 32.5%, 32.4%, 22.9% 하락한데 따라서 전체적으로 12.2%가 하락. 이처럼 카사바의 가격이 하락한 요인은 중국의 소비 감소, 베트남 및 미얀마산 카사바와의 경쟁 등에 따른 것. 고무가격 하락의 경우 자동차 제조분야의 노동인력 부족과 정부의 명확하지 않은 가격안정화 정책 때문으로 풀이됨. 팜오일 수요 하락의 요인은 작년 국내시장에서 팜오일 부족으로 지나치게 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 이러한 팜오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태국은 1킬로그램당 10바트의 세금을 2012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부과하였음
'태국 산업동향(산업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