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11.24 2023

[말레이시아] 링깃 약세 회복을 위한 투자 유치 촉구

조회2059

 ❍ 11.16일 사회경제연구센터 전무이사 리헝구(Lee Heng Guie)는 2024년 예산에 관한 세미나에서 링깃 약세의 주요 원인은
    달러 금리와의 격차라고 지적

  - 미국 재무부 채권과 말레이시아 정부 증권 간의 격차가 커짐에 따라 투자자들이 자본을 미국으로 유치하여 자본 유출을
    야기한 것으로 분석

 ❍ 8월 자본 이동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달러, 위안화, 엔화로 입금된 외화 예금은 은행 예금 총액의 약 10%인 약 2,282억링깃
    수준으로 팬더믹 이전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

  - 사회경제연구센터 전문이사는 수출업체들은 링깃 약세가 지속될 경우 수출 수익금을 현지 통화로 환전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분석

  - 국내 투자자 유치 및 신규 외국인 투자 유입을 위해 현지 정부가 국가의 기본적인 부분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하며 국내 투자가
    안정적으로 유치될 경우 자연적으로 링깃 화폐가치가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현지 정부는 구조적 문제, 개혁, 재정 적자, 부채 수준 및 현재 재무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언급

   * 지난달 달러-링깃 환율은 4.8000 수준으로 아시아 금융 위기(1997~1998) 이후 최저치로 하락

 ❍ 말레이시아 경제연구소(MIER)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지출 감소와 수출 감소로 인한 운영비 상승이 매출에 부담을 주며 올해
    3분기 기업 및 소비자 심리는 비관적인 상태라고 밝힘

  - 말레이시아 경기동행지수는 ‘23년 3분기에 지속 하락하여 79.7 포인트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20년 2분기 코로나 발생 초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

   * ’22년 3분기 99.8포인트 ➝ ‘23년 2분기 82.4포인트➝ ’23년 분기 79.7포인트로 하락세

  - 말레이시아 경제연구소는 내수가 소폭 증가하였지만 외부 수요가 감소한 상태로 기업들이 비용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고 밝힘

   * 이번 분기에 기업의 56%가 임금 인상을 진행한 반면 23%만이 판매가를 인상하였다고 보고

 ❍ ‘23년 3분기 소비자심리지수 또한 하락세로 전 분기 대비 11.9 포인트 하락한 78.9 포인트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코로나
    통제 시기였던 ‘21년도 2분기 이후 최저치

  - 말레이시아 경제연구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서 응답자의 45%가 ‘23년 3분기에 재정 상태가 악화되었다고 답했으며 재정 상태가
    개선되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10% 수준

  - 응답자의 91%는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소득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응답자는 20% 수준으로 말레이시아인
    대다수가 인플레이션 지수, 소득 수준 및 노동시장에 관련하여 비관적으로 전망

  -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5%는 재정 상태가 개선될 것이라고 답하였으며 응답자의 40%는 재정 상태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

   * 말레이시아인들은 장기간 지속된 임금 동결 및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 말레이시아 경기동행지수

▲ 말레이시아 소비자심리지수 


 ❍ 말레이시아 경제연구소는 안정적인 경제 성장 및 인플레이션 완화 지표와 상반되는 소비자 심리와 기업들의 비관적인 전망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

   * 말레이시아 ’23년 3분기 소비자물가는 평균 2%, 근원물가는 2.5%로 완화된 상태

  - 현재 말레이시아 국내 성장은 주변국에 비해 긍정적인 상태로 인플레이션 완화를 통해 음식과 음료를 제외한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며 성장 둔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출 및 투자를 장려하는 것이 급선무

  - 말레이시아 경제연구소는 현재 무역수지 적자로 인해 소비자 심리가 지출 감소로 이어질 경우 쉽게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어
     정부에서 방안을 제시해야한다고 주장       


external_image

▲ 말레이시아 무역수지


▶ 시사점 및 전망

 ❍ 달러 대비 링깃 약세 및 소비자 심리에 따른 소비 둔화 등이 수출 저해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수출업체는 현지 경제 지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음


※ 출처

1) The Edge Malaysia

https://theedgemalaysia.com/node/690257

2) The Edge Malaysia

https://theedgemalaysia.com/node/690101

3) MATRADE

https://www.matrade.gov.my/en/about-matrade/28-malaysian-exporters/trade-statistics/5824-trade-performance-for-january-2018-2023

4) MIER

https://mier.org.my/business-conditions-index/

'[말레이시아] 링깃 약세 회복을 위한 투자 유치 촉구 '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말레이시아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