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식품첨가물/유해물질 규정

홈 통관 식품첨가물/유해물질
03.06 2019

2018 주요 수출대상국의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종합보고서 [말레이시아편]

조회23
2018 주요 수출대상국의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종합보고서 [말레이시아편]

< 목 차 >

조사요약  1

일러두기  3

제1장 조사 개요

제1절.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9

1. 조사의 필요성

2. 조사 목적

3. 기대 효과

제2절. 조사내용 및 방법  11

1. 조사대상 선정 및 설계

2. 가공식품 교역 현황 및 수입식품 관리제도

3.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관련법규 정보 수집

4. 기타 식품안전 및 수입식품 관련 이슈

제3절. 조사대상 가공식품  13

제2장 조사수행 내용 및 결과

제1절. 말레이시아 개요  19

1. 국가 개요

2. 식품관련 법률 및 기관

제2절. 가공식품 교역 현황  35

1. 말레이시아 식품시장 동향

2. 한국 식품 수출 동향 및 전망

제3절. 수입식품 관리제도  51

1. 수출계약 단계

2. 서류준비 단계

3. 선적/운송 단계

4. 수입신고/검역 단계

5. 통관/국내유통 단계

제4절. 할랄식품 관리제도  87

1. 제반 환경 및 정책 동향

2. 할랄인증 규정

3. 할랄인증 절차

제5절. 식품표시  105

1. 식품표시 기준

2. 식품표시 예시

3. 유전자재조합식품 표시사항

제6절.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121

1. 말레이시아 식품기준 및 규격

2. 식품첨가물 관련 규정

3. 유해물질 관련 규정

4. 식품첨가물/유해물질 기준 데이터베이스 활용

제7절. 기타 식품안전 및 수입식품 관련 이슈  151

1. 식품안전 이슈

2. 수입식품 부적합 사례

3. 말레이시아 수출 관련 Q&A

부 록

1. 대한민국 신식품공전 식품 분류  161

2. 말레이시아 관련정부기관 연락처  171

3. 말레이시아 세관신고서 No.1 양식  173

4. 위생증명요건  175

5. 식품 수입 시 추가 준비서류 필요 식품 리스트  183

6. 현대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식품 및 식재료 표시사항 규정  187

7. 한국이슬람교중앙회 할랄인증 발급 및 기준 관련서류  197

[표 1-1] 한국의 식품공전에서 분류하는 가공식품 분류  14

[표 2-1] 말레이시아 식품관련 인증제도 및 담당기관  33

[표 2-2] 최근 5년간 말레이시아 가공식품시장 동향  40

[표 2-3] 최근 5년간 말레이시아 가공식품 품목별 시장 동향  40

[표 2-4] 말레이시아 유통채널별 식품 매출 현황  41

[표 2-5] 최근 5년 간 對 말레이시아 식품 수출입 현황  48

[표 2-6] 최근 3년 간 對 말레이시아 식품 수출 Top5 목록  48

[표 2-7] 對 말레이시아 가공식품 수출 동향  49

[표 2-8] 對 말레이시아 품목별 수출 동향 (상위 30 품목)  50

[표 2-9] 수입신고/검역 단계별 사항  60

[표 2-10] 6단계 식품 화물 검사  70

[표 2-11] 한국 식품공전 분류에 따른 말레이시아 식품유형 분류  122

[표 2-12] 식품첨가물 사용기준 검색 결과 예시  148

[표 2-13] 유해물질 사용 기준 검색 결과 예시  148

그 림

[그림 1-1] 조사 목적 및 개요  10

[그림 2-1] 말레이시아 지도  20

[그림 2-2] 식품관련 법‧규정 및 관련기관  29

[그림 2-3] 말레이시아 가공식품 유통망 도식도  42

[그림 2-4] 말레이시아 관광객 한국 입국 통계 추이  44

[그림 2-5] 말레이시아 식품 수출 5단계  52

[그림 2-6] 말레이시아 상표등록과 관련기관 허가  54

[그림 2-7] 식품법(1983) 및 식품규정(1985)에 따른 식품 수입 절차도  64

[그림 2-8] 말레이시아 수입식품 검역 관련 정부기관과 주요 업무  66

[그림 2-9] 말레이시아 식품안전정보시스템  68

[그림 2-10] 식품안전정보시스템을 통한 식품 수입 허가  69

[그림 2-11] 수입식품 화물 입항 절차  73

[그림 2-12] 검사 3, 4, 5 단계와 수입업자 창고 보관  74

[그림 2-13] 재처리 및 재조정 과정  75

[그림 2-14] 재표기 과정  76

[그림 2-15] 재수출 과정  77

[그림 2-16] 검사 및 압류 해제 과정  78

[그림 2-17] 화물 반송 절차  79

[그림 2-18] 말레이시아 식품 안전 정보시스템 및 식품 수입 과정  81

[그림 2-19] IHAB 설립 계획을 밝힌 홈페이지  89

[그림 2-20] 말레이시아 할랄인증 관련정부, 협력기관  91

[그림 2-21] 말레이시아 할랄 공식 홈페이지  93

[그림 2-22] 말레이시아 할랄인증절차 메뉴얼  95

[그림 2-23] 할랄인증 시 비용 위임 절차 메뉴얼  95

[그림 2-24] 인증 가이드라인(Sertu Guidelines)  96

[그림 2-25] 할랄식품에 대한 말레이시아 표준  97

[그림 2-26] 인증 절차의 흐름  97

[그림 2-27] 할랄의 정의  98

[그림 2-28] e-Codes 가이드라인  99

[그림 2-29] 할랄 육류 및 가금류 생산 프로토콜  99

[그림 2-30] 할랄 보증 체계  100

[그림 2-31] 한국 이슬람교 중앙회 홈페이지  104

[그림 2-32] 한국이슬람교중앙회 할랄인증 관련 디렉토리  104

[그림 2-33] 식품첨가물/유해물질 기준 DB 수출지원정보 사이트(aT Kati) 147


'2018 주요 수출대상국의 식품첨가물 및 유해물질 종합보고서 [말레이시아편]'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보고서/간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