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타보고서

홈 자료
02.17 2016

2015 FTA로 다시 보는 캐나다 [원본]

조회5267

2015 FTA로 다시 보는 캐나다 [원본]

 

 

- 목 차 -

 

I. 캐나다 일반 현황

1. 국가 개황… ………………………………… 24
가. 국가 개요…………………………………… 24
나. 국토 - 권역별 특징… …………………… 25
다. 농업………………………………………… 28
라. 인구………………………………………… 31

2. 경제… ……………………………………… 33
가. 경제 전반…………………………………… 33
나. 주요 경제 지표… ………………………… 34

3. 교역… ……………………………………… 36
가. 무역 수지와 교역 대상국………………… 36
나. 한국의 대 캐나다 무역…………………… 38

4. 물류… ……………………………………… 38
가. 항구………………………………………… 39
나. 공항 ………………………………………… 40
다. 물류 구조…………………………………… 40
라. 대륙별 경로………………………………… 41

 

Ⅱ. 캐나다 FTA 체결 현황

1. 한-캐나다 FTA 개요… ………………………… 46

2. 대 캐나다 수출 현황… ………………………… 47

3. 한-캐나다 FTA의 주요 내용…………………… 48
가. 캐나다 측 양허… ……………………………… 48
나. 한국 측 양허 …………………………………… 49
다. 한-캐나다 주요 수출입 농산물 양허 비교…… 51

4. 한-캐나다 FTA 영향… ………………………… 52
가. 한-캐나다 FTA 기대효과……………………… 52
나. 캐나다의 FTA 체결 영향……………………… 53

 

Ⅲ. 캐나다의 통관 및 검역제도

1. 캐나다의 수입 통관 제도… …………………… 58
가. 수출 Flow Chart… …………………………… 58
나. 수출과정 상세 설명… ………………………… 59

2. 식물검역 및 식품검사…………………………… 63
가. 식물 검역………………………………………… 63
나. 식픔 검사………………………………………… 66

3. 원산지 증명 조건………………………………… 72
가. 원산지 증명 방식… …………………………… 72
나. 원산지 결정 기준… …………………………… 75
다. 원산지 검증 및 서류보관 의무………………… 77
라. 원산지 증명서 발급에 따른 애로사항………… 79

4. 라벨링 조건… …………………………………… 80
가. 식품 성분표기 기본규정… …………………… 80
나. 알레르기 유발 성분 표기……………………… 83

5. 통관 불합격 사례………………………………… 86

 

Ⅳ. 캐나다 농식품 시장 현황

1. 캐나다의 유통시장… …………………………… 88
가. 시장 현황………………………………………… 88
나. 식품 소매 형태… ……………………………… 89

2. 캐나다의 식품시장… …………………………… 90
가. 주요 식품 유통 기업…………………………… 90
나. 소비자 현황……………………………………… 94
다. 소비자 트렌드…………………………………… 95
라. 식품 인증……………………………………… 101

3. 캐나다의 에스닉 푸드 시장… ……………… 102
가. 시장 현황……………………………………… 102
나. 에스닉 인구 현황… ………………………… 103
다. 소비자 트렌드………………………………… 106

4. 캐나다의 한국 식품 시장… ………………… 106
가. 시장 현황……………………………………… 106
나. 유통 구조……………………………………… 107
다. 유통업체 현황………………………………… 108
라. 한인 소비자 현황… ………………………… 112

 

Ⅴ. 현지 소비자 설문결과

1. 조사 방법 및 표본 구성… …………………116
가. 조사방법……………………………………116
나. 표본 구성 및 응답자 특성…………………116

2. 한국 식품 구매 행태… ……………………117
가. 구매행태 일반………………………………117
나. 수입 식품에 대한 인식……………………123

3. 한국 식품 구매 일반… ……………………126
가. 한국 식품 구매 빈도 및 장소… …………127
나.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도와 만족도………129

 

Ⅵ. 수출 유망품목 선정 및 FTA 심층조사

1. FTA 심층조사 품목 선정과정… …………… 132

2. 신선식품… …………………………………… 135
1) 단감… ………………………………………… 135
2) 배… …………………………………………… 144
3) 감귤… ………………………………………… 154
4) 포도… ………………………………………… 161
5) 버섯… ………………………………………… 169
6) 딸기… ………………………………………… 177

3. 가공식품… …………………………………… 183
1) 인삼… ………………………………………… 183
2) 김치… ………………………………………… 190
3) 라면… ………………………………………… 198
4) 소스 및 장류…………………………………… 208

4. 캐나다의 딸기 수출 사례… ………………… 218

 

Ⅶ. 캐나다 수출확대 전략

1. 3C 및 STD 환경 분석………………………… 222
2. SWOT을 통한 최적 전략… ………………… 227
3. STP 심층분석… ……………………………… 228
4.Marketing Mix 전략… ……………………… 228

 

[부록]
1. 캐나다의 유기농 시장………………………… 234
2. 국내 및 해외 기관 … ………………………… 241
3. 바이어 정보… ………………………………… 242
4. 품목분류 사전심사 신청방법………………… 243
5. 한국 수출 농산물 검역… …………………… 245
6. 소비자 설문조사 문항………………………… 247

 

 


o 자료문의 : aT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출전략처 수출정보부 061-931-0875

'2015 FTA로 다시 보는 캐나다 [원본] '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보고서/간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