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기타보고서

홈 자료
06.06 2017

[중국-베이징] 중국 소비자의 79%이상이 이미 치즈를 경험

조회885

 

+ 사진파일 등 자세한 내용은 PDF 파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소비자의 79%이상이 이미 치즈를 경험

 


조사 : aT베이징지사

 

국제적 시장조사기관인 영국 민텔社(Mintel)에 따르면, 이미 중국 소비자의 79%가 치즈를 경험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소비자들이 점점 더 서방의 생활방식을 많이 접하게 됨에 따라 치즈는 중국소비자들에게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식품이 되었다.

 

최근 <2016년 중국시장 치즈보고서>에 따르면 치즈를 경험해본 중국 소비자들은 이미 70%이상에 달했다.

전체 식품시장 중 유제품의 가격 영향력을 볼 때, 중국의 치즈 시장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증가속도는 원만할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 치즈 소매시장의 소매량은 2016년에서 2021년까지 12.8%의 평균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2021년에는 38,830톤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중국 치즈 소매시장의 시장 점유율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나 24% 정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치즈가 비교적 발달한 기타 아시아 국가들인 일본 41%, 베트남 73%에 비해 중국은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치즈 맛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살펴보면, 중국 도시 소비자들의 53%가 단 맛의 치즈를 좋아했으며, 58%가 부드러운 치즈를 좋아했다. 짠 맛의 치즈를 좋아하는 소비자는 32%였으며, 딱딱한 치즈를 좋아하는 소비자는 26%였다. 현재까지 가장 인기가 있는 치즈 제품은 치즈 슬라이스 48%이며 발라먹는 치즈가 43%로 그 뒤를 이었다.


민텔사에 따르면, 바쁘고 스트레스 받는 도시 생활의 현대 소비자들은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건강한 식품을 찾고 있으며 젊은 사람들의 소비력이 커짐에 따라 다양한 맛의 치즈가 각광을 받고 있다고 본다. 다양한 치즈를 편리하게, 다양한 식품과 함께 먹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요리해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앞으로 치즈시장이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이유이다. 

 

치즈의 영양가는 아주 높으며 칼슘, 단백질의 주공급원이나 중국 소비자들에게 이런 인식은 아직 부족한 편으로 보인다. 민텔사의 조사 결과 58%의 소비자들이 우유의 영양가가 높아도 했으나 단, 44%의 소비자들만이 치즈의 영양가가 높다고 답했다. 오히려 요거트(酸?)가 영양가가 높다고 답한 소비자가 52%에 달했다.

 

49%의 중국 도시 소비자들은 치즈의 종류를 구분했으며, 31%의 소비자들만이 많은 종류의 치즈 중에서 선택의 어려움을 겪었다고 답했다. 48%의 소비자들은 치즈를 구매할 때 제품 라벨 설명에서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으며 44%의 소비자들은 음식, 미식과 연관된 매체 등에서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다.

 

중국 소비자들의 치즈 인지도는 상당히 높아졌으며 치즈에 대해 더 많이 알기를 원하고, 많은 장소에서 먹어보기를 원하며 각종 매체 등에서 치즈를 지속적으로 소개해 주기를 원한다. 치즈 브랜드 회사들은 이런 부분을 공략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30세 이상의 소비자들 중 아이들이 있는 소비자는 아이들 때문에 치즈를 많이 골라봤기 때문에 치즈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에서 피자나 빵 등을 집에서 만들어 먹는 홈베이킹이 트렌드가 됨에 따라 치즈를 좋아하는 팬들 수는 2,3년 안에 급속도로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된다면 신 중산층 소비자들의 60%가 6개월 이내 치즈 원제품을 구매할 것으로 보이며 42%가 치즈 제품에 선호도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맛이 진한 치즈제품은 향후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치즈 맛이 약한 제품은 그에 비해 소비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 출처 : 중국공업식품 

 

□ 시사점
중국 유아·어린이 치즈시장은 현재 중국 현지 생산중인 중불 합작 지에푸(MILKANA)가 캐릭터 치즈 등 여러 가지 제품을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 1위에 있다. (가격대는 500g에 20위안 이하, 캐릭터 제품, 치즈 함유율이 낮아 치즈맛이 약함)
 
서양권 문화를 접한 80-90년대 출생자들이 부모세대가 됨에 따라 유아·어린이용 치즈가 중국 식품시장에 가장 유망한 품목이라고 판단되며 한국 업체들이 캐릭터 및 세련된 제품 디자인과 맛(치즈 함유율 증가, 견과류 등 함유), 기능(DHA, 칼슘 함유 등)으로 진입한다면 성공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중국-베이징] 중국 소비자의 79%이상이 이미 치즈를 경험'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보고서/간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