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수산식품 수출 Zoom In

홈 뉴스 공지사항
04.07 2013

팽이버섯(유통동향1)

조회364

 

○ 일반적으로 신선버섯(Fresh Mushrooms)은 도매업체(wholesalers)와 리패커(re-packer, 농산물을 수입하여

    다시 포장해서 파는 도매업자) 또는 식료품 바이어(grocery store produce buyers)로 판매

 

 - 일반적으로 신선버섯(Fresh Mushrooms)은 도매업체(wholesalers)와 리패커(re-packer, 농산물을 수입하여

    다시 포장해서 파는 도매업자) 또는 식료품 바이어(grocery store produce buyers)로 판매됨

 

 - 대규모로 버섯을 생산하는 재배업자(growers)들은 일반적으로 자사 버섯을 자체 판매에이전트를 통해 시판하거나

    자사 소유(company-owned) 혹은 빌린 트럭(leased trucks)을 통해 버섯을 유통하고 있음

 - 소규모로 버섯을 생산하는 재배업자들은 대부분 개별 도매업자(independent wholesaler) 또는 커미션

    판매 에이전트(commission (sales) agents)에 직접 버섯을 판매함

 

 - 신선버섯은 벌크 박스(bulk box)에 포장되어 트럭으로 지역별로 운송되지만, 대량생산업체들은 전국에

    유통하기도 함
 - 헌츠포인트마켓(Hunts Point Terminal Market)은 세계 최대 도매시장

 

 - 미국 뉴욕 브롱스에 위치해 있으며 세계 최대 농산물 거래소로, 133 에이커에 달하는 거대한 면적을 차지하고 있음

 

 - 현재 과일 및 야채 도매업체 60여개가 코압 형식으로 소유해 운영하고 있으며, 뉴욕시뿐만 아니라 뉴저지와

   코네티컷에까지 농산물을 공급

 

 - 헌츠포인트마켓은 브롱스 터미널마켓, 브루클린 터미널마켓과 더불어 뉴욕시의 3대 터미널 마켓 중 한곳으로,

    원래 맨해튼 웨스트사이드에 위치해 있던 농산물 거래소가 1970년대 들어 이곳으로 이전

 

 - 영업시간은 업소별로 차이가 있지만, 보통 일요일 밤(pm 9시)에 오픈해 금요일 오후(pm 5시)까지가 영업시간임

 

 - 물건을 구입하러 오는 뉴욕 일대 청과상, 레스토랑 운영자, 도매상들이 몰고 온 밴과 트럭이 가득 메우고,

    시장 외곽은 물건을 실어 나르는 컨테이너트럭으로 분주함

 

 - 헌츠포인트마켓은 49개 주와 55개국에서 온갖 종류의 과일과 채소가 매일 비행기와 트럭에 실려 세계 곳곳에서

    실려와 어느 농산물거래소보다 종류가 다양함

           

'팽이버섯(유통동향1)'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보고서/간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