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수산식품 수출 Zoom In

홈 뉴스 공지사항
04.15 2020

[중국] Covid-19가 중국 농산품 수입에 끼친 영향 및 중국 정부의 대책

조회2727

Covid-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중국 내 농산품 수출입에 큰 타격을 받고 있다. Covid-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중국 농산품 무역에 대한 영향은 지속적으로 악화 될 가능성이 있다.


 Covid-19가 중국 농산품 수입에 끼친 영향


- 중국 농산품 수입 수요 감소

현재 중국 내 많은 음식점이 휴업상태로 대부분의 국민들은 주로 집에서 식품을 소비하고 있다. 그리하여 농산품에 대한 소비도 줄어들고 있으며 농산품 수입에 대한 수요도 감소되고 있다. 농산품 가공업, 농산 식품, 사료 등 초급 농산품 원재료 수입을 통하여 가공하는 업체
들이 점차적으로 업무 복귀 및 생산을 재개하고 있지만 생산속도는 정체되고 있다. 4월 말에 모두 생산라인이 회복이 된다고 해도 생산속도는 3개월 정체된 것이며 초급 농산품 수입에 대한 수요도 정체될 수 있다.


- 농산품 수입원의 안정성 인하

미국, 유럽, 오스트리아, 캐나다 등 중국에 콩, 육류, 곡물 등 농산품을 수출하고 있는 나라가 현재 Covid-19사태가 심각하다. 격리는 감염 전파를 방지하는 주요 수단이다. 하지만 격리 수단은 각 나라 간 농산품 무역 거래를 막고 있다. 세계적으로 Covid-19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중국 농산품 수입원의 안정성이 인하되고 있다. 만약 세계적으로 Covid-19사태가 지속적으로 확산되면 중국의 농산품의 시장도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다.


- 위안화 절하로 인한 농산품수입 원가 상승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하여 세계 경제발전이 느려지고 있다. 최근 경제 위기로 인하여 국제 농산품 시장의 수요 및 공급에 불확실성이 증가하였다. 위안화 등 국제 화폐가 절하 현상이 일어나면서 농산품의 수입 원가가 상승되어 중국 농산품 수입 수요에 영향을 주고 있다.


 중국 정부의 대책


기업 주체로 농산품 다원화 국제시장 확장에 대한 지원

중국 농업과학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중국 기업의 농산품 수입 무역을 진행하는 면에 있어서 농산품 무역 정책을 조정하고 있다. 특히 콩, 돼지고기 등 수입 농산품 무역 정책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  많은 수출국의 검역제도를 강화한 반면 수입 관세 조정 등 시장 진입장벽을 완화하였다. 정부에서는 “중국국제수입박람회”, ”중국-동맹박람회”, “중국-아프리카경무박람회” 등 대형 박람회를 조직하여 많은 해외 농산품 및 농산품 무역 파트너에게 좋은 시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제한 정책에 대한 대응방안 강화

외교 채널을 통해 각 나라간의 제한 정책을 순조롭게 처리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통해 과학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Covid-19로 인한 농산품 기술적 무역 문제점을 과학 분석을 통하여 관련 국제 규칙에 맞게 대응 대책을 내세우고 있다. 지속적으로 세계 위생 조직과 소통 및 협력을 하면서 Covid-19의 확산 방지 대책을 연구하고 있다.


- 농산품관련 국제무역 회사의 권익 보호

농산품 국제 무역의 편의화 지원사업을 진행하여 더욱 간편한 통관 수속, 항구 및 검역에 대한 비용 절감 등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법적 자문 및 법적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제 법규 및 국제 규칙을 활용하여 기업의 합법적인 권익을 최대한 보호하고 경제 손실을 최소로 줄이고 있다.

출처:
http://szb.farmer.com.cn/2020/20200414/20200414_004/20200414_004_2.htm
농민일보 2020.04.14 손지육, 이선덕 기자(孙致陆,李先德)


'[중국] Covid-19가 중국 농산품 수입에 끼친 영향 및 중국 정부의 대책'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중국

관련 보고서/간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