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농수산식품 수출 Zoom In

홈 뉴스 공지사항
08.03 2023

[중국] 중국 주류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 저용량 캔 주류

조회3655

중국 젊은 층 소비자 새로운 트렌드 – 저용량 주류



본격적인 여름에 들어서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냉장고에 주류를 구비해 놓기 시작했다. 중국의 젊은 직장인들에게 하루의 일과를 끝내고 냉장고에서 시원한 미니 캔 주류를 꺼내 마시는 것이 새로운 스트레스 해소 트렌드가 되고 있다. 타오바오(淘宝)에서 최근 발표한 <2023년 저용량 캔 주류 보고서(2023年度小罐酒报告)>(이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타오바오에서 330ml 용량 이하의 저용량 주류 판매량이 전월 대비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만 명 이상의 소비자가 타오바오 플랫폼에서 저용량 주류를 구매했다고 밝혔다. 


1. 저용량 캔 주류(소관주, 小罐酒), 시장을 사로잡다

중국의 표준 캔 용량이 330ml이기 때문에, 표준 캔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제품(330ml 미만)을 저용량 주류로 분류한다. 중국 각 SNS 플랫폼에서 "135ml 맥주"를 검색하면 수많은 제품 후기와 이미지를 찾아볼 수 있다. 타오바오 주류 관련 담당자에 의하면 새로운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기 위해 많은 주류 브랜드는 용량을 줄이기에 한다. 버드와이저의 미니캔 용량은 255ml이고 칭다오 맥주에서도 200ml 용량의 미니 캔 맥주를 출시했다. 그 외 아사히, 기린 등 수입 맥주 브랜드에서도 135ml 저용량 캔 맥주를 출시하고 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칭다오 200ml 미니 캔 맥주

아사이 135ml 수입 미니 캔 맥주

출처: 바이두



맥주뿐 아니라 다른 주종에서도 저용량은 이미 트렌드가 되었다.  메이잰(梅见)에서는 한 손안에 들어오는 5cm 크기의 150ml 저용량 매실주를 출시하였다. 젊은 소비자에게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노력해온 백주 산업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중국의 유명 백주 브랜드 마오타이에서는 100ml 용량의 미니 고량주를 출시했다. 중국 전통주 이외에 수입 양주 브랜드도 50ml 용량의 미니 양주를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으며, 일부 브랜드는 음료와 섞어 한잔 마시기 편한 20ml, 10ml 용량 제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메이잰(梅见) 150ml 미니 매실주

마오타이 100ml 미니 백주

출처: 바이두


올해 618(중국의 쇼핑축제) 기간 동안 330ml 이하의 수입 맥주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00% 이상 증가하였고 수입 양주는 54%, 중국산 백주는 122% 증가했다. 저용량 주류의 시장 규모는 150억 위안(한화 약 2조 8천억 원)에 도달하였고 연평균 15-20%가량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 저용량 주류, 소비자의 “알딸딸한” 요구를 만족시키다

한 손에 들어오는 작은 크기, 귀여운 패키지, 낮은 알코올 도수 등의 특징을 보이는 저용량 주류는 남성 소비자에게 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용량 주류 소비자 중 남성 소비자가 67%에 달하고 70~80세대가 주 소비층이며 90~00세대도 17%에 달한다. 저용량 주류의 도시별 소비자 선호도 순위를 살펴보면 심천, 푸저우, 난징, 상하이, 항저우 등 남방지역의 도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들은 저용량 주류의 인기 요인이 부담이 없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저용량 주류는 간편하고 한 번에 남김없이 마실 수 있기 때문이다. 용량뿐 아니라 가격 면에서도 대용량 주류보다 저렴한 가격에 즐길 수 있다. 주량이 약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킨 것도 인기 요인 중 하나이다. 또 다른 인기 요인 중 하나는 현재 중국 내 ‘저도주’ 트렌드의 영향이다. 젊은 세대의 소비 습관이 변하며 저도주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저용량 주류는 소비자가 원하는 ‘알딸딸한’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3. 청년층, 주류(酒類) 소비의 주류(主流)가 되다.

청년세대는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것에 거리끼지 않고 희소가치를 추구하여 여러 산업에서의 발전과 업그레이드를 이끌었다. 주류 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취하기 위한 음주보다 즐기기 위한 음주를 추구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며 저용량 주류 시장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다. 한 중국의 식품산업 분석가는 주류의 소포장화는 청년세대 니즈를 인식하고 만족시키기에 적절하다고 평가하며, 포장 규격의 다양화는 식품 산업에서 중요한 발전 방향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전체 주류 매출액 증가 속도가 떨어지고 소비시장이 이성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저용량 주류는 새로운 시장 개척 제품이 되었고, 주류 회사의 서비스 능력과 마케팅 능력은 저용량 주류 시장 점유의 핵심이다.


중국 젊은 소비층의 소비력이 강화되고 있다. 한국 주류 기업에서도 제품 용량, 브랜드 문화, 가격 전략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개성 있고 차별화된 제품으로 청년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면 중국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출처: 중국식품보망 http://www.cnfood.cn/article?id=1682332553133002753

'[중국] 중국 주류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 : 저용량 캔 주류'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맥주 #중국

관련 보고서/간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