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연간 매출 6천억, 곤약 가공품의 성장
조회1653월 27일, 웨이룽(卫龙)은 2024년 재무 보고서를 공개했으며, 회사의 총 수익은 62.67억 위안(약 1조 2,5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6% 증가했다. 연내 이익은 10.68억 위안(약 2,1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3% 증가했다.
실적 고성장의 요인은 채소 제품의 폭발적인 성장이었다.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부류는 30억 위안(약 6천억 원)이 넘는 매출로 실적 성장의 새로운 엔진으로 부상하며 단숨에 전 품목 중의 새로운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웨이룽(卫龙)은 채소 가공품(주로 머위솽(魔芋爽, 곤약 스낵), 미역 제품, 샤오뭐뉘(小魔女, 곤약을 활용하여 소의 위와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진 스낵)) 등의 수익은 각각 16.64억 위안, 16.93억 위안, 21.19억 위안으로 브랜드의 중요한 동력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2024년, 웨이룽(卫龙)은 머위솽(魔芋爽)을 대표로 하여 채소 가공품의 수익이 33.71억 위안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9.1% 증가하였으며 총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8%에 달했다. 이는 그동안 많은 인기를 얻은 조미 면제품인 라티아오(辣条)의 매출을 단숨에 넘겨 연간 매출 10억 위안을 기록하며 웨이룽(卫龙)의 대표 상품이 되었다.
사실 웨이룽(卫龙)의 곤약 제품이 성장이 빠르지만 또 다른 브랜드기업인 옌진푸쯔(盐津铺子)의 성장세도 빠르다. 2021년과 2022년에는 옌진푸쯔(盐津铺子)의 곤약 제품 수익은 각각 1억 1,700만 위안과 2억 5,700만 위안이었다. 또한, 옌진푸쯔(盐津铺子)의 2024년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곤약 제품의 수익은 3억 1천만 위안에 달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했다. 수익이 가장 높은 매운 간식으로 전체 레저식품 수익의 12.61%를 차지하였다.
최근 2년 동안 곤약 제품 등 채소 가공품은 저칼로리, 고식이섬유의 건강한 특성으로 인해 전연령대의 소비자를 끌어들이고 있으며, 여러 간식 브랜드도 잇따라 채소 가공품에 뛰어들고 있다. 현재 시장에는 웨이룽(卫龙)과 옌진푸쯔(盐津铺子)가 힘을 쏟고 있는 것 외에도, 싼즈송슈(三只松鼠), 량핀푸쯔(良品铺子), 바이차오웨이(百草味), 판판(盼盼) 등 선두 레저식품 브랜드 및 마라 스낵을 만드는 웨이룽(伟龙), 자룽(佳龙), 셴거(贤哥) 등의 브랜드도 곤약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곤약 제품의 성장 잠재력이 크고 해당 분야의 기회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중국 곤약협회(中国魔芋协会)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중국 곤약의 전체 시장 규모는 400억 위안을 돌파했으며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복합 성장률은 약 26%었다. 매운 곤약 스낵류에 초점을 맞추면 시장 규모가 60억을 돌파했으며 시장 전망이 밝다. 업계 관계자들은 레저 곤약 제품의 맛의 다양화, 채널 침투율 제고 등 여전히 성장할 여지가 있다고 보고 있다. 곤약 제품의 맛을 더욱 풍부하게 하고, 맛의 종류를 확장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인다면 곤약 제품은 더 많은 수익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사점
올해 초,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2025년 전 국민 건강 체중 관리 행동 계획’을 발표하여 ‘과학적인 체중 감량’을 연간 건강 업무의 핵심 과제로 명확히 제시하고, ‘체중 관리의 해’ 프로젝트를 특별히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중국 소비자들은 식품의 성분, 열량에 대해 더욱 신경 쓸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식품기업들은 열량이 낮은 원료를 활용하여 저칼로리, 맛 좋은 간식 등을 연구 개발하여 중국 시장 트렌드를 겨냥한 식품으로 중국 시장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다.
출처 : https://mp.weixin.qq.com/s/-MllNX5Nv3UqZLWLaqECKQ
문의 : 상하이지사 정하패(penny0206@at.or.kr)
'[중국] 연간 매출 6천억, 곤약 가공품의 성장'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